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신경절 세포 (ganglion cell; GC)'''{{망막}} 는 시각 경로의 세 번째 뉴런이다. 신경절세포의 축삭은 망막의 유리체 경계를 가로질러 시신경으로 합쳐진다. 차등 전위 (graded potential) 를 통해 신호를 전달하는 다른 망막의 신경세포와 달리 신경절세포는 활동 전위를 생성하여 뇌까지의 상대적으로 긴 경로를 따라 신호를 전달한다. 사람 망막의 신경절세포는 대략 150만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신경절세포는 형태학적으로나 기능적으로 매우 다양하여, 과거에는 15~20 종류의 신경절세포가 존재할 것으로 생각하였으며, 최근에 생쥐 망막을 이용한 연구에서는 32종류 이상의 신경절 세포가 발견되었다. 이렇게 다양한 신경절세포는 각각 특유의 독립적인 시각 통로를 이룰 것으로 생각되어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신경절세포는 단순히 빛을 | '''신경절 세포 (ganglion cell; GC)'''{{망막}} 는 시각 경로의 세 번째 뉴런이다. 신경절세포의 축삭은 망막의 유리체 경계를 가로질러 시신경으로 합쳐진다. 차등 전위 (graded potential) 를 통해 신호를 전달하는 다른 망막의 신경세포와 달리 신경절세포는 활동 전위를 생성하여 뇌까지의 상대적으로 긴 경로를 따라 신호를 전달한다. 사람 망막의 신경절세포는 대략 150만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신경절세포는 형태학적으로나 기능적으로 매우 다양하여, 과거에는 15~20 종류의 신경절세포가 존재할 것으로 생각하였으며, 최근에 생쥐 망막을 이용한 연구에서는 32종류 이상의 신경절 세포가 발견되었다. 이렇게 다양한 신경절세포는 각각 특유의 독립적인 시각 통로를 이룰 것으로 생각되어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신경절세포는 단순히 빛을 감지하여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시각 정보의 특징을 추출한 고차원적인 시각 정보를 여러개의 병렬 구조로 뇌로 전달한는 것으로 생각한다. | ||
== 분류 == | == 분류 == | ||
* 형태애 따른 분류 | * 형태애 따른 분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