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수 유출 장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426 바이트 제거됨 ,  2021년 8월 25일 (수)
잔글
21번째 줄: 21번째 줄:
* 관-유리체면 접촉 : 관의 폐쇄로 수술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 관-유리체면 접촉 : 관의 폐쇄로 수술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 저안압 :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에는 관이 전방내로 더 밀려들어가는 경향이 있어 때로는 동공을 가릴 수도 있으며, 고식적 여과 수술과 마찬가지로 맥락막 삼출이나 맥락막 위공간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 저안압 :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에는 관이 전방내로 더 밀려들어가는 경향이 있어 때로는 동공을 가릴 수도 있으며, 고식적 여과 수술과 마찬가지로 맥락막 삼출이나 맥락막 위공간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 일시적 고안압 : 술 후 몸체를 둘러싸는 섬유성 낭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낭이 형성되고 성숙되는 시기에 해당하는 수술 4~6주 후에 일시적으로 안압이 높아지는 경우가 흔하다. 이 때에는 베타 차단제 등을 사용하여 안압을 조절해주어야 하며, 낭의 벽이 섬유화하여 두꺼워지지 않도록 스테로이드 점안을 병행한다.
* 안압 조절의 실패 : 방수 유출 장치의 몸체 주위에 형성되는 섬유성 벽이 과도한 섬유화로 두꺼워져 투과성이 떨어짐으로써 발생한다.
* 안압 조절의 실패 : 방수 유출 장치의 몸체 주위에 형성되는 섬유성 벽이 과도한 섬유화로 두꺼워져 투과성이 떨어짐으로써 발생한다.
* 관이나 몸체가 공막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으면 관이 이동하여 전방 바깥쪽으로 빠져 나가거나 반대로 전방 내로 너무 깊이 들어갈 수 있다.
* 관이나 몸체가 공막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으면 관이 이동하여 전방 바깥쪽으로 빠져 나가거나 반대로 전방 내로 너무 깊이 들어갈 수 있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