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연 맥락막 상강 출혈: 두 판 사이의 차이

269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8월 25일 (수)
잔글
잔글 (→‎증상)
 
27번째 줄: 27번째 줄:
모든 경우에 수술적 치료를 요하는 것은 아니며 응고된 혈액이 용해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좋다. 보통 14일 정도면 응고된 혈액이 용해된다.
모든 경우에 수술적 치료를 요하는 것은 아니며 응고된 혈액이 용해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좋다. 보통 14일 정도면 응고된 혈액이 용해된다.
== 수술적 치료 ==
== 수술적 치료 ==
공막 절개를 통해 출혈을 제거하는 것이며, 유리체가 끼어 있거나 유리체-망막 유착이 있는 경우는 유리체 절제술을 함께 시행할 수 있다.
공막 절개를 통해 출혈을 제거하는 것이며, 유리체가 끼어 있거나 유리체-망막 유착이 있는 경우는 유리체 절제술을 함께 시행할 수 있다. 전방 및 유리체강 재형성술시에는 평형염액보다는 히알루론산 나트륨을 이용 시 효과가 좋았고 특히 유리체강내 주입 시 맥락막 박리를 안정화시키고 망막 유착을 분리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 예후 및 합병증 ==
== 예후 및 합병증 ==
대개 예후는 불량하며 망막 박리가 동반되어 있거나 광범위한 맥락막 상강 출혈이 있는 경우 매우 불량한 예후를 보인다.
대개 예후는 불량하며 망막 박리가 동반되어 있거나 광범위한 맥락막 상강 출혈이 있는 경우 매우 불량한 예후를 보인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