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장점) |
잔글 (→장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스마일 (small-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SMILE)''' 은 펨토초 레이저를 사용하여 근시 및 난시를 교정하는 효율적이고 안전한 수술 방법으로<ref>Shen Z et al. SMILE vs. FS-LASIK for Myop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LoS One''. 2016 Jul 1;11(7):e0158176. [https://pubmed.ncbi.nlm.nih.gov/27367803/ 연결]</ref>, 절편 없이 작은 절개창을 통하여 각막 기질을 추출해 내는 수술이다. | '''스마일 (small-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SMILE)''' 은 펨토초 레이저를 사용하여 근시 및 난시를 교정하는 효율적이고 안전한 수술 방법으로<ref>Shen Z et al. SMILE vs. FS-LASIK for Myop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LoS One''. 2016 Jul 1;11(7):e0158176. [https://pubmed.ncbi.nlm.nih.gov/27367803/ 연결]</ref>, 절편 없이 작은 절개창을 통하여 각막 기질을 추출해 내는 수술이다. | ||
== 장점 == | == 장점 == | ||
각막 절편을 만들지 않으므로 절편 주름, 유리 절편 같은 합병증이 없고 수술 후 충격이나 외상에 강하다. 또한 각막 조직을 적게 약화시키므로 각막 확장증의 위험이 낮고, 각막 신경 손상이 적어 안구건조증의 발생이 적다는 보고도 있었다<ref>Denoyer A et al. DED after refractive surgery : comparative outcomes of SMILE vs. LASIK. ''Ophthalmology''. 2015 Apr;122(4):669-76. [https://pubmed.ncbi.nlm.nih.gov/25458707/ 참고]</ref>. | |||
=== 시력 회복 === | |||
2~4 mm 의 각막 절개창을 통해 각막편을 제거하고 보우만층을 포함한 각막 전면부를 보존하므로 수술 후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다. 스마일 수술에서 초기 시력의 회복이 라식 수술보다 조금 더 늦다고 밝힌 연구와 같이 초기 회복의 차이는 있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라식 수술과 유사한 안전성과 시력 예후를 보인다<ref>Moshirfar M et al. Small-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JCRS''. 2015 Mar;41(3):652-65. [https://pubmed.ncbi.nlm.nih.gov/25804585/ 연결]</ref>. | 2~4 mm 의 각막 절개창을 통해 각막편을 제거하고 보우만층을 포함한 각막 전면부를 보존하므로 수술 후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다. 스마일 수술에서 초기 시력의 회복이 라식 수술보다 조금 더 늦다고 밝힌 연구와 같이 초기 회복의 차이는 있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라식 수술과 유사한 안전성과 시력 예후를 보인다<ref>Moshirfar M et al. Small-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JCRS''. 2015 Mar;41(3):652-65. [https://pubmed.ncbi.nlm.nih.gov/25804585/ 연결]</ref>. | ||
스마일수술군에서 라식수술군보다 초기 회복이 느린 것에 대해서는 기존의 몇 가지 이론이 존재한다. 첫째는 스마일 수술에서 펨토초레이저를 조사한 후에 미세둥근주걱을 사용하여 각막기질조각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각막기질에 | |||
손상을 주게 되고, 이로 인해 추가적인 염증이 발생하면서 시력의 회복이 더딜 수 있다는 설명이다. Agca et al19은 스마일수술 1주 후와 펨토초라식수술 1주 후에 동초점현미경을 이용해서 각막을 검사하였을 때 스마일수술군에서 후방 산란이 더 심한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근거로 스마일 수술 후 회복 과정에서 기질 절단면 사이의 특수한 회복 과정이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 |||
두 번째는 레이저 에너지의 다양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회복의 차이에 대한 주장으로 Chiche et al1 은 엑시머레이저는 광절제 작용으로 연속적이고 완만한 절단면을 만들지만 펨토초레이저의 광파괴작용은 수술 시 거품과 잔존가교상 조직이 섞인 불규칙한 절단면을 만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모든 펨토초레이저시술은 각막기질에 해부학적으로 조금 더 불규칙한 절단면을 만들고 라식수술에 비해서 광학적으로 더 큰 손상이 발생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스마일수술에서 각막기질을 제거한 후에 각막기질 기저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연속성이 | |||
결여되면서 대비감도의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도 제기하였다. | |||
높은 펨토초레이저의 에너지도 원인이 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 라식수술과 스마일수술에 사용된 140 nJ의 펨토초 레이저 에너지와는 달리 Donate, Thaëron<ref>Donate D et al. Lower Energy Levels Improve Visual Recovery in SMILE. ''J Refract Surg''. 2016 Aug 1;32(9):636-42. [https://pubmed.ncbi.nlm.nih.gov/27598734/ 연결]</ref>은 스마일 수술 시 180 nJ의 표준 에너지와 플라즈마를 만들기 위한 최소한의 에너지인 100 nJ로 에너지를 조사하였을 때를 비교한 결과 플라즈마 역치인 100 nJ의 에너지를 사용하였을 때 시력 회복이 더 빨랐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는 낮은 에너지를 사용하면 대비감도의 회복도 빠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상기 언급한 가설 이외에도 저자들은 스마일 수술 시 미세둥근주걱을 이용하여 잔존 가교상조직을 끊는 과정에서 각막의 콜라겐 조직이 물리적으로 늘어나면서 각막 기질의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한다. | |||
== 수술 방법 == | == 수술 방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