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시력 회복) |
잔글 (→시력 회복)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손상을 주게 되고, 이로 인해 추가적인 염증이 발생하면서 시력의 회복이 더딜 수 있다는 설명이다. Agca 등<ref>Agca A et al. Corneal backscatter analysis by in vivo confocal microscopy: fellow eye comparison of SMILE and FS-LASIK. ''J Ophthalmol''. 2014;2014:265012. [https://pubmed.ncbi.nlm.nih.gov/24734168/ 연결]</ref>은 스마일, 펨토초 라식 수술 1주 후에 동초점 현미경을 이용해서 각막을 검사하였을 때 스마일 수술군에서 후방 산란이 더 심한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근거로 스마일 수술 후 회복 과정에서 기질 절단면 사이의 특수한 회복 과정이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 손상을 주게 되고, 이로 인해 추가적인 염증이 발생하면서 시력의 회복이 더딜 수 있다는 설명이다. Agca 등<ref>Agca A et al. Corneal backscatter analysis by in vivo confocal microscopy: fellow eye comparison of SMILE and FS-LASIK. ''J Ophthalmol''. 2014;2014:265012. [https://pubmed.ncbi.nlm.nih.gov/24734168/ 연결]</ref>은 스마일, 펨토초 라식 수술 1주 후에 동초점 현미경을 이용해서 각막을 검사하였을 때 스마일 수술군에서 후방 산란이 더 심한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근거로 스마일 수술 후 회복 과정에서 기질 절단면 사이의 특수한 회복 과정이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 ||
두 번째는 레이저 에너지의 다양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회복의 차이에 대한 주장으로 Chiche et | 두 번째는 레이저 에너지의 다양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회복의 차이에 대한 주장으로 Chiche 등<ref>Chiche A et al. Early recovery of quality of vision and optical performance after refractive surgery: SMILE vs. LASIK. ''JCRS''. 2018 Sep;44(9):1073-1079. [https://pubmed.ncbi.nlm.nih.gov/30078538/ 연결]</ref>은 엑시머레이저는 광절제 작용으로 연속적이고 완만한 절단면을 만들지만 펨토초레이저의 광파괴작용은 수술 시 거품과 잔존가교상 조직이 섞인 불규칙한 절단면을 만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모든 펨토초레이저시술은 각막기질에 해부학적으로 조금 더 불규칙한 절단면을 만들고 라식수술에 비해서 광학적으로 더 큰 손상이 발생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스마일수술에서 각막기질을 제거한 후에 각막기질 기저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연속성이 | ||
결여되면서 대비감도의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도 제기하였다. | 결여되면서 대비감도의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도 제기하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