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허혈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362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9월 5일 (일)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안허혈 증후군 (ocular ischemic syndrome; OIS) 은 안구로 가는 장기간의 혈류 감소에 의해 전안부나 후안부의 허혈로 인한 폭넓은 임상 소견을 나...)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안허혈 증후군 (ocular ischemic syndrome; OIS) 은 안구로 가는 장기간의 혈류 감소에 의해 전안부나 후안부의 허혈로 인한 폭넓은 임상 소견을 나타낼 수 있는 질환이며 그 시력 예후는 불량하다.  
'''안허혈 증후군 (ocular ischemic syndrome; OIS)''' 은 안구로 가는 장기간의 혈류 감소에 의해 전안부나 후안부의 허혈로 인한 폭넓은 임상 소견을 나타낼 수 있는 질환이며 그 시력 예후는 불량하다.
== 역사 ==
1963년 Kearns 등<ref>Kearns TP et al. Venous-stasis retinopathy of occlusive disease of the carotid artery. ''Proc Staff Meet Mayo Clin''. 1963 Jul 17;38:304-12. [https://pubmed.ncbi.nlm.nih.gov/14043286/ 연결]</ref>이 경동맥이 협착이 진행된 환자에서 관찰된 다양한 안증상을 처음으로 보고하였다.
== 역학 ==
== 역학 ==
환자의 나이는 평균 65세 정도로 50세 미만은 드물다. 인종간의 차이는 없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약 2배 많아서 남자의 높은 동맥경화증 유병률을 반영한다. 양안 발병률의 차이는 없고 20%에서는 양안에 모두 발병한다.
환자의 나이는 평균 65세 정도로 50세 미만은 드물다. 인종간의 차이는 없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약 2배 많아서 남자의 높은 동맥경화증 유병률을 반영한다. 양안 발병률의 차이는 없고 20%에서는 양안에 모두 발병한다.
13번째 줄: 15번째 줄:
* FA : <span style='color:blue;'>조영제를 팔 정맥으로 주사 후 맥락막 및 망막 혈관에서 형광이 처음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이 지연</span>되는데 주사 놓는 위치와 주사 속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혈액 흐름 저하로 인하여 망막 동맥이 조영제로 찰 때 동맥 혈관 전체를 동시에 채우지 못하고 혈관의 주변부로 서서히 차 들어가는 양상이 관찰되기도 한다.<br />정상적으로 맥락막 충만은 형광 출현 후 5초 이내에 완전히 이루어지지만 안허혈 증후군에서는 [
* FA : <span style='color:blue;'>조영제를 팔 정맥으로 주사 후 맥락막 및 망막 혈관에서 형광이 처음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이 지연</span>되는데 주사 놓는 위치와 주사 속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혈액 흐름 저하로 인하여 망막 동맥이 조영제로 찰 때 동맥 혈관 전체를 동시에 채우지 못하고 혈관의 주변부로 서서히 차 들어가는 양상이 관찰되기도 한다.<br />정상적으로 맥락막 충만은 형광 출현 후 5초 이내에 완전히 이루어지지만 안허혈 증후군에서는 [
== 예후 ==
== 예후 ==
시력 예후는 불확실하다. 그 이유는 질병의 원인이 안구 자체보다, 전신적인 혈관 상태, 특히 경동맥의 상태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이다. 전반적으로 예후는 매우 불량하며, [[홍채 혈관신생]]이 발생한 경우 90% 이상에서 법적 실명 상태로 발전한다.
시력 예후는 불확실하다. 그 이유는 질병의 원인이 안구 자체보다, 전신적인 혈관 상태, 특히 경동맥의 상태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이다. 전반적으로 예후는 매우 불량하며, [[홍채 신생혈관]]이 발생한 경우 90% 이상에서 법적 실명 상태로 발전한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