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 콘택트렌즈: 두 판 사이의 차이

2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9월 10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소프트 콘택트렌즈 (soft contact lens; SCL)</b> 은 연성 콘택트렌즈 라고도 한다.
'''소프트 콘택트렌즈 (soft contact lens; SCL)'''{{콘택트렌즈}} 은 연성 콘택트렌즈 라고도 한다.
== 역사 ==
== 역사 ==
고분자화학을 전공하는 체 코슬로바키아의 Otto Wichterle와 D Lim, 그리고 의사인 M Dreifus 가 처음으로 HEMA물질을 개발하였다 1950년대부터 Wichterle 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개발을 시작하여 1961년에 특허를 얻었으며, 렌즈의 제작에 있어서 원심 회전 주조법 (spin casting) 을 개발하여 계속 발전시켜 나갔다. 미국에서는 1971년 바슈롬 사가 FDA승인을 받으면서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였다.<br />&nbsp;&nbsp;1973년 American Optical 회사가 치료용 렌즈로 FDA 승인을 받았으며, 1975년 바슈롬 사의 'Plano-T'가 치료용으로, 또 1979년에는 Copper 사의 'Perma Lens'가 연속 착용용으로, 1980년에는 난시용 소프트 렌즈가 보급되기 시작하였다.<br />&nbsp;&nbsp;1990년대 이후에는 일회용 렌즈의 시대라고 할 수 있는데, 1988년 Johnson&Johnson 사가 일회용 연속 착용 렌즈 사용을 승인 받았고, 그 이후 많은 다른 회사들도 이 종류의 렌즈를 생산하고 있으며, 1994년 이후에는 일일 일회용 렌즈 (1-day disposable lens) 가 나오게 되었다.
고분자화학을 전공하는 체 코슬로바키아의 Otto Wichterle와 D Lim, 그리고 의사인 M Dreifus 가 처음으로 HEMA물질을 개발하였다 1950년대부터 Wichterle 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개발을 시작하여 1961년에 특허를 얻었으며, 렌즈의 제작에 있어서 원심 회전 주조법 (spin casting) 을 개발하여 계속 발전시켜 나갔다. 미국에서는 1971년 바슈롬 사가 FDA승인을 받으면서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였다.<br />&nbsp;&nbsp;1973년 American Optical 회사가 치료용 렌즈로 FDA 승인을 받았으며, 1975년 바슈롬 사의 'Plano-T'가 치료용으로, 또 1979년에는 Copper 사의 'Perma Lens'가 연속 착용용으로, 1980년에는 난시용 소프트 렌즈가 보급되기 시작하였다.<br />&nbsp;&nbsp;1990년대 이후에는 일회용 렌즈의 시대라고 할 수 있는데, 1988년 Johnson&Johnson 사가 일회용 연속 착용 렌즈 사용을 승인 받았고, 그 이후 많은 다른 회사들도 이 종류의 렌즈를 생산하고 있으며, 1994년 이후에는 일일 일회용 렌즈 (1-day disposable lens) 가 나오게 되었다.
65번째 줄: 65번째 줄:
=== 렌즈의 움직임 ===
=== 렌즈의 움직임 ===
렌즈의 적당한 움직임은 렌즈 아래의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각막의 산소 공급을 위해 필수적이다.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경우 RGP 렌즈에 비해 움직임이 매우 제한적이지만 눈을 깜빡일 때마다 렌즈 아래 눈물의 1~2% 정도의 교환이 일어나며 RGP 렌즈의 경우는 10% 정도의 교환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SCL에서는 눈 깜빡임을 통한 산소 공급, 즉 tear pumping에 의한 작용이 제한적이라 생각한다.
렌즈의 적당한 움직임은 렌즈 아래의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각막의 산소 공급을 위해 필수적이다.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경우 RGP 렌즈에 비해 움직임이 매우 제한적이지만 눈을 깜빡일 때마다 렌즈 아래 눈물의 1~2% 정도의 교환이 일어나며 RGP 렌즈의 경우는 10% 정도의 교환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SCL에서는 눈 깜빡임을 통한 산소 공급, 즉 tear pumping에 의한 작용이 제한적이라 생각한다.
{{참고|콘택트렌즈}}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