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퇴행 눈꺼풀 속말림 (involutional entropion) == 역학 == 아랫눈꺼풀에서만 발생하며, 나이 든 환자에서 주로 관찰된다. == 원인 == * <span style='color:...) |
잔글 (→검사 및 진단)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 퇴행 안구함몰 : 과거 수년 동안 원인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관련이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 * 퇴행 안구함몰 : 과거 수년 동안 원인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관련이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 ||
== 검사 및 진단 == | == 검사 및 진단 == | ||
손가락으로 쉽게 눈꺼풀테를 정상 위치로 돌려놓을 수 있으며, 한 두번의 눈깜빡임 동안에도 이 상태를 유지한다. 몇 년의 눈깜빡임 동안에도 눈꺼풀 속말림이 다시 생기지 않을 때는 환자에게 눈을 꼭 감으라고 하면 보통 다시 생긴다. 환자의 과거력을 청취하였을 때 눈꺼풀 속말림이 있었을 것으로 의심되지만 현재 검사 시점에서는 눈꺼풀 속말림이 관찰되지 않는 환자에서는 눈을 아주 세게 감으라고 요구하면 종종 눈꺼풀 속말림이 유발된다.<br />아랫눈꺼풀 당김기의 부착부 파열이 있음을 의미하는 징후로 <span style='color:blue;'>아래결막구석에 흰색의 선</span>이 관찰되기도 한다. | 손가락으로 쉽게 눈꺼풀테를 정상 위치로 돌려놓을 수 있으며, 한 두번의 눈깜빡임 동안에도 이 상태를 유지한다. 몇 년의 눈깜빡임 동안에도 눈꺼풀 속말림이 다시 생기지 않을 때는 환자에게 눈을 꼭 감으라고 하면 보통 다시 생긴다. 환자의 과거력을 청취하였을 때 눈꺼풀 속말림이 있었을 것으로 의심되지만 현재 검사 시점에서는 눈꺼풀 속말림이 관찰되지 않는 환자에서는 눈을 아주 세게 감으라고 요구하면 종종 눈꺼풀 속말림이 유발된다.<br />아랫눈꺼풀 당김기의 부착부 파열이 있음을 의미하는 징후로 <span style='color:blue;'>아래결막구석에 흰색의 선</span>이 관찰되기도 한다. | ||
* 눈꺼풀 잡아당기기 검사 (eyelid distraction test) : 검사자의 엄지와 검지로 환자의 아랫눈꺼풀을 집어서 눈으로부터 잡아당겼을 때 아랫눈꺼풀과 눈사이의 벌어진 틈을 측정하는 검사이다. 벌어진 틈이 6~8mm 이상이면 아랫눈꺼풀의 이완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 |||
* 눈꺼풀 당겼다놓기 검사 (snap back test) : 아랫눈꺼풀을 아래쪽으로 당겼다가 놓았을 때 아랫눈꺼풀이 제 위치로 돌아가는 속도를 관찰하는 검사이다. 아랫눈꺼풀의 이완이 없으면 눈깜빡임이 없이도 바로 제 위치로 돌아가지만, 수평 이완이 있는 느슨한 눈꺼풀의 경우 제자리로 돌아가지 않고 아래로 당겨진 위치에 일정 시간 머무르게 된다. 이완의 정도는 아랫눈꺼풀이 제 위치로 돌아가는데 필요한 눈깜빡임의 수로 대략 정량화할 수 있다. | |||
== 수술적 치료 == | == 수술적 치료 == | ||
* 아랫눈꺼풀 당김기 재부착술 (retractor reinsertion operation) : 가장 많이 이용되는 수술 방법으로, 아랫눈꺼풀 당김기를 눈꺼풀판에 재부착시켜주면 눈꺼풀판의 아래가장자리를 아래로 당기게 되어 눈꺼풀테가 바깥으로 회전된다. 이 때 눈꺼풀의 수평 이완이 있으면 과교정되어 눈꺼풀 겉말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교정하는 눈꺼풀 수평 단축술을 시행하여야 눈꺼풀 겉말림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 * 아랫눈꺼풀 당김기 재부착술 (retractor reinsertion operation) : 가장 많이 이용되는 수술 방법으로, 아랫눈꺼풀 당김기를 눈꺼풀판에 재부착시켜주면 눈꺼풀판의 아래가장자리를 아래로 당기게 되어 눈꺼풀테가 바깥으로 회전된다. 이 때 눈꺼풀의 수평 이완이 있으면 과교정되어 눈꺼풀 겉말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교정하는 눈꺼풀 수평 단축술을 시행하여야 눈꺼풀 겉말림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 ||
* [[가쪽 눈꺼풀판띠 고정술[ | * [[가쪽 눈꺼풀판띠 고정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