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540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9월 15일 (수)
잔글
잔글 (→‎음식)
잔글 (→‎음식)
42번째 줄: 42번째 줄:
과일이나 야채 및 비타민 등이 녹내장 위험도를 낮출 수 있다는 보고들이 있었지만 아직 도움이 된다고 결론을 내리기에 충분한 증거는 없다<ref>Hecht I et al. Modifiable factors in the management of glaucoma : a systematic review of current evidence.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7 Apr;255(4):789-796. [https://pubmed.ncbi.nlm.nih.gov/27743157/ 연결]</ref>. 담배의 해로움은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이 많지만 녹내장의 병인과 관계되어서는 흡연은 시신경 손상을 유발하거나<ref>Dervişoğulları MS et al. Effect of smoking on RNFL and GC-IPL complex. ''Cutan Ocul Toxicol''. 2015;34(4):282-5. [https://pubmed.ncbi.nlm.nih.gov/25363066/ 연결]</ref>  섬유주 세포에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여<ref>Zanon-Moreno V et al. Smoking, an additional risk factor in elder women with POAG. ''Mol Vis''. 2009 Dec 31;15:2953-9. [https://pubmed.ncbi.nlm.nih.gov/20057902/ 연결]</ref>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연구에서 흡연과 [[원발 개방각 녹내장|POAG]]의 연관성이 없다는 보고도 있었지만<ref>Zhou Y et al. The effect of smoking on the risk of POAG : an updated meta-analysis of 6 observational studies. ''Public Health''. 2016 Nov;140:84-90. [https://pubmed.ncbi.nlm.nih.gov/27527843/ 연결]</ref> 과거의 흡연 경력은 관계가 없지만 현재 흡연을 하는 경우 POAG의 발병 위험도가 더 증가하며 이 경우 특히 흡연량과 관계가 깊다는 보고도 있었다<ref>Pérez-de-Arcelus M et al. Smoking and incidence of glaucoma : The SUN Cohort. ''Medicine (Baltimore)''. 2017 Jan;96(1):e5761. [https://pubmed.ncbi.nlm.nih.gov/28072720/ 연결]</ref>. 녹내장과 흡연의 연관성은 생각보다 약해 보이지만 흡연의 해로움은 녹내장에 국한된 것이 아니므로 금연을 권유하는 것에 문제는 없어 보인다<ref>Jain V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POAG : a systematic review. ''Int Ophthalmol''. 2017 Feb;37(1):291-301. [https://pubmed.ncbi.nlm.nih.gov/27138591/ 연결]</ref>.
과일이나 야채 및 비타민 등이 녹내장 위험도를 낮출 수 있다는 보고들이 있었지만 아직 도움이 된다고 결론을 내리기에 충분한 증거는 없다<ref>Hecht I et al. Modifiable factors in the management of glaucoma : a systematic review of current evidence.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7 Apr;255(4):789-796. [https://pubmed.ncbi.nlm.nih.gov/27743157/ 연결]</ref>. 담배의 해로움은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이 많지만 녹내장의 병인과 관계되어서는 흡연은 시신경 손상을 유발하거나<ref>Dervişoğulları MS et al. Effect of smoking on RNFL and GC-IPL complex. ''Cutan Ocul Toxicol''. 2015;34(4):282-5. [https://pubmed.ncbi.nlm.nih.gov/25363066/ 연결]</ref>  섬유주 세포에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여<ref>Zanon-Moreno V et al. Smoking, an additional risk factor in elder women with POAG. ''Mol Vis''. 2009 Dec 31;15:2953-9. [https://pubmed.ncbi.nlm.nih.gov/20057902/ 연결]</ref>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연구에서 흡연과 [[원발 개방각 녹내장|POAG]]의 연관성이 없다는 보고도 있었지만<ref>Zhou Y et al. The effect of smoking on the risk of POAG : an updated meta-analysis of 6 observational studies. ''Public Health''. 2016 Nov;140:84-90. [https://pubmed.ncbi.nlm.nih.gov/27527843/ 연결]</ref> 과거의 흡연 경력은 관계가 없지만 현재 흡연을 하는 경우 POAG의 발병 위험도가 더 증가하며 이 경우 특히 흡연량과 관계가 깊다는 보고도 있었다<ref>Pérez-de-Arcelus M et al. Smoking and incidence of glaucoma : The SUN Cohort. ''Medicine (Baltimore)''. 2017 Jan;96(1):e5761. [https://pubmed.ncbi.nlm.nih.gov/28072720/ 연결]</ref>. 녹내장과 흡연의 연관성은 생각보다 약해 보이지만 흡연의 해로움은 녹내장에 국한된 것이 아니므로 금연을 권유하는 것에 문제는 없어 보인다<ref>Jain V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POAG : a systematic review. ''Int Ophthalmol''. 2017 Feb;37(1):291-301. [https://pubmed.ncbi.nlm.nih.gov/27138591/ 연결]</ref>.


적당량의 음주는 안압을 미세하게 나마 낮출 수 있다는 보고가 있고 미국 자료에 의하면 음주가 녹내장 발병의 위험인자로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18  흑인들에서는 위험인자로 나온 결과도 있었다. 19  음주와 녹내장의 연관성은 아직까지는 미미해 보이나 지나친 음주에 대한 제한은 물론 필요하다. 20  물을 한꺼번에 많이 마시는 것에 대해 주의를 해야 한다는 주장은 water drinking test에서 나온 아이디어인데 WDT는 보통 500에서 1,000cc를 빨리 마시는 방법으로 진행되므로 실생활에서 흔치 않은 일이고 혹 그렇게 마시는 경우가 있다고 하더라도 상승폭이 크지 않고 다시 안압이 정상화 되므로 강조할 필요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21  
적당량의 음주는 안압을 미세하게 나마 낮출 수 있다는 보고가 있고 미국 자료에 의하면 음주가 녹내장 발병의 위험인자로 밝혀지지는 않았지만<ref>Kang JH et al. Prospective study of alcohol consumption and the risk of POAG. ''Ophthalmic Epidemiol''. 2007 May-Jun;14(3):141-7. [https://pubmed.ncbi.nlm.nih.gov/17613849/ 연결]</ref> 흑인들에서는 위험인자로 나온 결과도 있었다<ref>Wise LA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diabetes, lifestyle factors, and glaucoma among African-American women. ''Ann Epidemiol''. 2011 Jun;21(6):430-9. [https://pubmed.ncbi.nlm.nih.gov/21549278/ 연결]</ref>. 음주와 녹내장의 연관성은 아직까지는 미미해 보이나 지나친 음주에 대한 제한은 물론 필요하다<ref>Wang S et al. Alcohol and eye diseases. ''Surv Ophthalmol''. 2008 Sep-Oct;53(5):512-25. [https://pubmed.ncbi.nlm.nih.gov/18929762/ 연결]</ref>. 물을 한꺼번에 많이 마시는 것에 대해 주의를 해야 한다는 주장은 water drinking test에서 나온 아이디어인데 WDT는 보통 500에서 1,000cc를 빨리 마시는 방법으로 진행되므로 실생활에서 흔치 않은 일이고 혹 그렇게 마시는 경우가 있다고 하더라도 상승폭이 크지 않고 다시 안압이 정상화 되므로 강조할 필요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21  


음주 흡연 다음으로 많은 질문을 받는 것이 커피인데 커피는 단기간 안압을 상승시킴이 알려져 있어서 (이러한 경향은 녹내장 환자에서 더 높다) 22  녹내장 환자들이 안압을 재러 오는 날은 보통 2시간 이내에는 커피를 마시지 말라고 알려준다. 커피 및 카페인을 많이 섭취하는 경우가 안압이 더 높은 경향이 있었다는 연구와 23 가족력이 있는 고안압 개방각녹내장에서는 커피가 녹내장의 위험도를 증가시킨다는 연구도 있었으나 24 일반적으로 커피와 개방각녹내장의 연관성은 적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한 연구에서는 커피를 하루 3잔 이상 마시는 경우 거짓비늘녹내장의 발병위험도를 높이며 이는 특히 가족력이 있는 여성에서 더하다고 하였다. 25  커피가 가지는 항산화효과가 녹내장성 시신경 손상에 도움이 될 가능성도 있기에 26  녹내장환자에서 커피를 굳이 제한할 필요는 없겠지만 최근 카페인 음료를 과다 복용해서 부정맥으로 사망한 사례에서 보듯이 과유불급이라 적정량을 넘지 않도록 권고할 필요는 있어 보인다.
음주 흡연 다음으로 많은 질문을 받는 것이 커피인데 커피는 단기간 안압을 상승시킴이 알려져 있어서 (이러한 경향은 녹내장 환자에서 더 높다) 22  녹내장 환자들이 안압을 재러 오는 날은 보통 2시간 이내에는 커피를 마시지 말라고 알려준다. 커피 및 카페인을 많이 섭취하는 경우가 안압이 더 높은 경향이 있었다는 연구와 23 가족력이 있는 고안압 개방각녹내장에서는 커피가 녹내장의 위험도를 증가시킨다는 연구도 있었으나 24 일반적으로 커피와 개방각녹내장의 연관성은 적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한 연구에서는 커피를 하루 3잔 이상 마시는 경우 거짓비늘녹내장의 발병위험도를 높이며 이는 특히 가족력이 있는 여성에서 더하다고 하였다. 25  커피가 가지는 항산화효과가 녹내장성 시신경 손상에 도움이 될 가능성도 있기에 26  녹내장환자에서 커피를 굳이 제한할 필요는 없겠지만 최근 카페인 음료를 과다 복용해서 부정맥으로 사망한 사례에서 보듯이 과유불급이라 적정량을 넘지 않도록 권고할 필요는 있어 보인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