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시술 및 수술)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임신기간 중 반드시 약물을 써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진행 속도가 빠르지 않고 비교적 초기에 발견된 녹내장이라면 임신기간 중 약물을 쓰지 않고 관찰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 임신기간 중 반드시 약물을 써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진행 속도가 빠르지 않고 비교적 초기에 발견된 녹내장이라면 임신기간 중 약물을 쓰지 않고 관찰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 ||
== 임신과 안압의 관계 == | == 임신과 안압의 관계 == | ||
임신기간 전반에 걸쳐 안압이 1~3 mmHg 정도 하강하게 되는데, 임신 초기에서 후기로 갈수록 더 많이 감소하게 된다. | 임신기간 전반에 걸쳐 안압이 1~3 mmHg 정도 하강하게 되는데, 임신 초기에서 후기로 갈수록 더 많이 감소하게 된다<ref>Efe YK et al. The course of corneal and IOP changes during pregnancy. ''Can J Ophthalmol''. 2012 Apr;47(2):150-4. [https://pubmed.ncbi.nlm.nih.gov/22560420/ 연결]</ref>. Qureshi등은 정상 임산부에서는 임신 18주째 가장 많은 안압 감소를 보였고, 고안압증 임산부에서는 24주째 최대 안압 감소를 보였으며, 안압이 정상범위까지도 떨어진다고 보고하였다<ref>Qureshi IA. IOP and pregnancy : a comparison between normal and OHTN subjects. ''Arch Med Res''. 1997 Autumn;28(3):397-400. [https://pubmed.ncbi.nlm.nih.gov/9291638/ 연결]</ref>. Cursiefen 등도 고안압증 임산부에서 임신 기간 동안 안압이 7mmHg 가량 감소함을 보고하였고, 시야검사나 ERG, VEP 에서 변화가 없었다고 하였다<ref>Cursiefen C et al. Glaucoma and pregnancy - review of the literature with a case report. ''Klin Monbl Augenheilkd''. 1998 Sep;213(3):126-31. [https://pubmed.ncbi.nlm.nih.gov/9793909/ 연결]</ref>. 국내연구에서는 Moon 등이 정상 임산부와 개방각 녹내장 임산부에서 각각 제 2삼분기와 제 3삼분기에 최대 안압 하강이 나타남을 보고하였다.16 임신 기간 동안 안압이 감소하는 기전에 대해서는 임신 기간 중의 호르몬의 변화에 의해 방수유출이 증가한다는 가설이 주로 인정받고 있다. 임신기간 중 증가하는 progesterone 은 방수유출률을 증가시키고 섬유주의 glucocorticoid receptor 에 길항작용을 하여 안압을 떨어뜨릴 수 있다.17,18 임신기간 중 분비되는 relaxin 은 콜라겐의 변화를 일으켜 쉴렘관과 섬유주의 경직성을 완화시킴으로써 방수유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19 또한 임신 기간 중 나타나는 혈관 저항력의 감소에 따라 상공막정맥압이 감소하는 것도 안압 감소 기전으로 제시되고 있다. | ||
== 약제의 부작용 == | == 약제의 부작용 == | ||
* [[교감 신경 흥분제|알파 작용제]] (B등급) : 지질 친화성 약제여서 뇌혈류장벽을 통과하여 영아와 소아에서 무호흡 (apnea), 기면 (drowsiness) 등의 중추신경계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임산부에서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에게 도달하거나 수유중인 산모의 젖을 통해 신생아 또는 영아에게 전달될 경우 이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 * [[교감 신경 흥분제|알파 작용제]] (B등급) : 지질 친화성 약제여서 뇌혈류장벽을 통과하여 영아와 소아에서 무호흡 (apnea), 기면 (drowsiness) 등의 중추신경계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임산부에서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에게 도달하거나 수유중인 산모의 젖을 통해 신생아 또는 영아에게 전달될 경우 이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 시술 및 수술 == | == 시술 및 수술 == | ||
임신기간 중 약물을 반드시 써야 녹내장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경우라면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을 시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선택적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SLT]]은 [[아르곤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ALT]] 만큼의 유효한 안압 하강 효과를 가지면서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임신과 수유 기간 동안 약물사용을 최소화 하거나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세가지 이상의 약물을 써야 조절되는 환자이거나 진행된 녹내장의 경우에는 레이저섬유주성형술 만으로는 녹내장의 진행을 억제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약물 중단 시 안압이 상승될 범위를 예측하여 미리 수술을 계획하는 것도 필요하다. 수술을 해야 할 경우 수술 자체에 의한 스트레스, 마취-수술-회복 기간에 사용되는 약물 등이 위험요소로 작용하게 되므로 임신 전에 치료가 끝날 수 있도록 잘 계획하여 실행하는 것이 좋겠다. | 임신기간 중 약물을 반드시 써야 녹내장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경우라면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을 시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선택적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SLT]]은 [[아르곤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ALT]] 만큼의 유효한 안압 하강 효과를 가지면서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임신과 수유 기간 동안 약물사용을 최소화 하거나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세가지 이상의 약물을 써야 조절되는 환자이거나 진행된 녹내장의 경우에는 레이저섬유주성형술 만으로는 녹내장의 진행을 억제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약물 중단 시 안압이 상승될 범위를 예측하여 미리 수술을 계획하는 것도 필요하다. 수술을 해야 할 경우 수술 자체에 의한 스트레스, 마취-수술-회복 기간에 사용되는 약물 등이 위험요소로 작용하게 되므로 임신 전에 치료가 끝날 수 있도록 잘 계획하여 실행하는 것이 좋겠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