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수술적 치료) |
잔글 (→시술)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속눈썹이 눈을 찌르는 방향으로 자라나서 각막과 결막을 자극한다. 이는 안통, 각막 미란, 시력 저하, 심하게는 각막 궤양까지 이를 수 있다. | 속눈썹이 눈을 찌르는 방향으로 자라나서 각막과 결막을 자극한다. 이는 안통, 각막 미란, 시력 저하, 심하게는 각막 궤양까지 이를 수 있다. | ||
== 시술 == | == 시술 == | ||
=== 속눈썹 뽑기 === | |||
일시적으로 증상을 완화시키는 치료 방법으로 시행 후 약 한달만에 거의 모든 경우에서 재발한다. 따라서 이 방법은 궁극적인 수술 술기를 계획하기 위하여 기다리는 동안 증상 완화 목적으로 시행할 수 있으며, 수술하기 전 최소 2주간은 속눈썹을 뽑지 않는 것이 좋다. | |||
=== 전기 분해술 === | |||
재발율이 50% 이상으로 높기 때문에 병적인 속눈썹이 많지 않을 때 시행한다. 눈꺼풀 흉터, 패임, 광범위한 주위 조직의 손상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치료법이다. | |||
미세한 전기 주사침을 속눈썹과 평행하게 하여 모낭 부위까지 찔러 넣은 후 전극 주사침에 단극 전류를 흘려보내면 이 때 발생하는 열로 인해 모낭이 파괴된다. 기포가 속눈썹관의 표면에 나타날 때까지 전류를 통해 준다. 파괴된 속눈썹을 면봉으로 닦을 때나 집게로 집을 때 쉽게 제거되지 않으면 모낭이 적절히 파괴된 것이 아니므로 전기 분해술을 추가로 시행한다. | |||
=== 아르곤 레이저 모낭 파괴술 === | |||
비록 널리 사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여러 개의 속눈썹이 서로 넓게 떨어져 눈쪽으로 자란 경우에 치료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국소적으로 분포된 환자에서 적용이 가능하며 쉽게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약 70% (59-80%)의 성공률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경한 패임과 피부탈색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 |||
눈꺼풀테를 바깥쪽으로 향하게 한 후 속눈썹이 피부 밑에서 위치하는 방향을 따라 속눈썹의 기저부에 레이저를 조사한다. 국소 도포용 마취 연고를 바르거나 마취제를 피하에 주사한 후 또는 마취 없이도 시행한다. 대부분의 술자들은 속눈썹의 줄기를 따라 2mm 정도의 깊이로 레이저 치료를 할 것을 권장한다. 레이저는 처음 300mW, 0.5초, 50㎛의 spot size로 설정하여 몇 차례 시행한 후 spot size의 크기를 점점 증가시킨다. 각각의 속눈썹에 12~30회 정도 레이저를 시행한다. 한 번 치료 후의 재발율은 12~41%까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치료한 속눈썹 수에 따라 증가한다. 재발하였을 때 4번까지도 반복하여 시술할 수 있으나 자주 재발하는 경우에는 대개 냉동 요법 등의 다른 방법으로 치료한다. | |||
=== 냉동 치료 === | |||
넓게 분포한 이상속눈썹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성공률은 56~90%로 알려져 있으나 합병증으로 시력상실, 눈꺼풀 변형, 각막 궤양, 눈꺼풀 사이 유착의 악화, 연조직염, 피부 탈색, 술 후 염증, 심한 연조직반응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안반흔 유사 천포창]],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같은 결막 수축이 있는 군에서는 더욱 조심해야 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ref>Wood JR et al. Complications of cryosurgery. ''Arch Ophthalmol''. 1981 Mar;99(3):460-3. [https://pubmed.ncbi.nlm.nih.gov/7213166/ 연결]</ref>. | |||
== 수술 치료 == | == 수술 치료 == | ||
* 오각형 모양 눈꺼풀 전층 절제 (pentagonal wedge resection) : 특히 눈꺼풀테 패임과 동반된 경우에 좋은 수술 적응증이 된다. | * 오각형 모양 눈꺼풀 전층 절제 (pentagonal wedge resection) : 특히 눈꺼풀테 패임과 동반된 경우에 좋은 수술 적응증이 된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