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낭: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36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9월 23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망막낭 (retinal cyst)'''{{망막}} 은 망막내층에 고인 국소적 액체강으로 경계가 명확하고 표면이 부드러운 반투명의 망막 융기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는 오래된 망막 박리, 망막내 삼출 또는 출혈 등 허혈성 망막 손상 후 드물게 발생하는 퇴행성 낭성 변화로 이해되고 있다.
'''망막낭 (retinal cyst)'''{{망막}} 은 망막내층에 고인 국소적 액체강으로 경계가 명확하고 표면이 부드러운 반투명의 망막 융기의 형태로 나타난다<ref>Marcus DF et al. Intraretinal macrocysts in RD. ''Arch Ophthalmol'' 1979;97:1273-5 [https://pubmed.ncbi.nlm.nih.gov/454261/ 연결]</ref>. 이는 오래된 망막 박리, 망막내 삼출 또는 출혈 등 허혈성 망막 손상 후 드물게 발생하는 퇴행성 낭성 변화로 이해되고 있다. 망막낭의 크기는 매우 다양하며 단일 또는 다발성으로 발생 가능한데 대개는 무증상의 비증식성인 양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1,3-6 망막낭의 크기는 매우 다양하며 단일 또는 다발성으로 발생 가능한데 대개는 무증상의 비증식성인 양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 병인 ==
== 병인 ==
오랜 망막박리에 의한 망막 허혈 상태는 시세포의 위축과 망막의 낭성 퇴행 변화를 일으켜 망막 하부나 내부에 낭성강을 생성시키고, 혈관 신생인자를 매개로 일어나는 기존 망막혈관확장 및 신생혈관의 삼출물 누출이 이러한 낭성강에 낭액으로 축척되면서 망막낭이 발생한다<ref>Zimmerman LE et al. The pathologic anatomy of retinoschisis with a report of 2 cases diagnosed clinically as malignant melanoma. ''Arch Ophthalmol''. 1960 Jan;63:10-9. [https://pubmed.ncbi.nlm.nih.gov/13847542/ 연결]</ref>.
오랜 망막박리에 의한 망막 허혈 상태는 시세포의 위축과 망막의 낭성 퇴행 변화를 일으켜 망막 하부나 내부에 낭성강을 생성시키고, 혈관 신생인자를 매개로 일어나는 기존 망막혈관확장 및 신생혈관의 삼출물 누출이 이러한 낭성강에 낭액으로 축척되면서 망막낭이 발생한다<ref>Zimmerman LE et al. The pathologic anatomy of retinoschisis with a report of 2 cases diagnosed clinically as malignant melanoma. ''Arch Ophthalmol''. 1960 Jan;63:10-9. [https://pubmed.ncbi.nlm.nih.gov/13847542/ 연결]</ref>.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