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합병증) |
잔글 (→안내염) |
||
58번째 줄: | 58번째 줄: | ||
레이저 시술 후 망막 박리는 0.08~3.6% 에서 발생한다. 위험 인자로는 근시, 반대쪽 눈의 망막 박리 과거력, 젊은 나이, 남자 등이 있다. | 레이저 시술 후 망막 박리는 0.08~3.6% 에서 발생한다. 위험 인자로는 근시, 반대쪽 눈의 망막 박리 과거력, 젊은 나이, 남자 등이 있다. | ||
=== 안내염 === | === 안내염 === | ||
레이저 시술 후 ''Propionibacterium acnes'' 에 의한 안내염이 발생할 수 있다. 후낭 절개를 통하여 낭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유리체에 도달하여 안내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국소적인 형태로 발생한다. | 레이저 시술 후 ''Propionibacterium acnes'' 에 의한 안내염이 발생할 수 있다<ref>Piest KL et al. Localized endophthalmitis : a newly described cause of the so-called toxic lens syndrome. ''JCRS''. 1987 Sep;13(5):498-510. [https://pubmed.ncbi.nlm.nih.gov/3499503/ 연결]</ref><ref>Carlson AN et al. Endophthalmitis following Nd:YAG laser PCotomy. ''Ophthalmic Surg''. 1988 Mar;19(3):168-70. [https://pubmed.ncbi.nlm.nih.gov/3258419/ 연결]</ref>. 후낭 절개를 통하여 낭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유리체에 도달하여 안내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국소적인 형태로 발생한다<ref>Aslam TM et al. Use of Nd:YAG laser capsulotomy. ''Surv Ophthalmol''. 2003 Nov-Dec;48(6):594-612. [https://pubmed.ncbi.nlm.nih.gov/14609706/ 연결]</ref>. | ||
=== 기타 합병증 === | === 기타 합병증 === | ||
인공수정체의 위치 이탈, 홍채염, 황반 원공, 각막 내피세포 감소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인공수정체의 위치 이탈, 홍채염, 황반 원공, 각막 내피세포 감소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