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안내염) |
잔글 (→시술 전 환자 준비)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 망막 박리의 고위험군일 때 | * 망막 박리의 고위험군일 때 | ||
== 시술 전 환자 준비 == | == 시술 전 환자 준비 == | ||
시술 전에는 일반적 전신 상태에 대한 파악 및 안과 검사를 실시한다. 시력, 안압, 안저 검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직접 검안경, Hurby 렌즈 등을 사용하여 평가한다. 환자에게 시술의 목적 및 성격을 설명하고 동의서를 받는다. 시술 중 소리가 나지만 아프지 않다는 것을 주지시키며 주시점을 잘 보도록 교육한다. 시술 후 안압 상승을 예방하기 위하여 레이저 직후에 α2 길항제나 베타 차단제를 점안한다. | |||
산동하지 않고 레이저를 조사하는 경우 동공 중심을 잡기에 유리하며, 빔을 좁게 경사각으로 비추어서 빛으로 인한 축동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환자가 위, 아래, 좌, 우측을 바라보게 하면서, 레이저를 동공 조임근 아래 경계에 맞추어 조사한다. 안구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시표를 정해놓고 반대쪽 눈으로 보게 한다. 심한 안구 진탕이 있는 경우에는 [[구후 마취]]를 시행하기도 한다. 시술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서 일반적으로 어두운 방에서 시행한다. | |||
=== 산동 === | |||
일반적으로 시술의 편리성을 위하여 산동 후 시술한다. 동공의 중심이 각막 중심에서 이탈되어 있거나, 산동이 편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산동 전에 동공의 중심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일부 술자는 시술 전에 동공 중심에 레이저를 조사한 후 산동시키기도 한다. 산동 후 후방 인공수정체의 위치가 이탈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산동은 한 번만 시행하는데 보통 2.5% phenylephrine을 1회 점안하고, 이로 충분하지 않으면 0.5% 또는 1% tropicamide를 추가로 점안한다. | |||
== 시술 방법 == | == 시술 방법 == | ||
Peyman, central Abraham 렌즈 같은 접촉 렌즈를 사용하는데 접촉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눈 움직임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융합각을 16~24˚ 증가시켜 후낭에 에너지를 극대화하고, 각막 및 망막으로 빔 지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한 조사 당 1~2mJ의 에너지를 사용한다. | Peyman, central Abraham 렌즈 같은 접촉 렌즈를 사용하는데 접촉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눈 움직임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융합각을 16~24˚ 증가시켜 후낭에 에너지를 극대화하고, 각막 및 망막으로 빔 지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한 조사 당 1~2mJ의 에너지를 사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