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모세포종: 두 판 사이의 차이

2,010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9월 24일 (금)
잔글
21번째 줄: 21번째 줄:


병리 소견에서 종양 세포에 의한 심한 맥락막의 침윤, 시신경의 침범, 공막 및 공막 외 침범 소견이 있는 경우는 안와내 재발 및 전이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리 소견에서 종양 세포에 의한 심한 맥락막의 침윤, 시신경의 침범, 공막 및 공막 외 침범 소견이 있는 경우는 안와내 재발 및 전이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분류 ==
안구내 크기, 분포의 양상, 안구의 보존 가능성을 바탕으로 그 단계를 나누고 있다. 이 분류를 바탕으로 환자의 치료 방법 을 선택할 뿐 아니라 예후를 예측하게 된다.
=== 안구내 망막모세포종 국제 분류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intraocular RB) ===
2005년에 개발되었으며,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분류 체계로 항암 치료와 국소 치료의 결과를 예측하기 위한 분류로 활용되며, 안구내 종양의 크기, 침범 범위 및 동반 합병증 여부에 따라 A부터 드까지 5개의 군으로 분류를 하게 된다.
* A군 (매우 낮은 위험) : 주요 구조에서 떨어진 작은 종양 - 3 mm 이하의 종양이 망막에 국한되어 있으며, 중심 소와로부터 3mm, 시신경에서 15 mm 이상 떨어져 있음, 유리체 또는 망막하 파종은 없는 상태
* B군 (낮은 위험) : 망막에 국한된 상태로 A군에 해당되지 않는 모든 종양 - 유리체 또는 망막하 파종은 없는 상태, 종양으로부터 3mm 이내의 망막하액
* C군 (중등도 위험) : 국소적 유리체 또는 망막하 파종을 동반한 종양 - 미세한 국소적 파종이 종양으로부터 3mm 이내에 위치하며, 국소 방사선으로 치료 가능한 상태, 하나의 사분면을 넘지 않는 망막하액
* D군 (높은 위험) : 유의한 유리체 및 망막하 파종이 있는 미만성 질환 - 하나의 사분면 이상의 망막하액에서 전체 망막 박리까지, 판 또는 결절형 형태의 미만성 망막하 파종,
무혈관성 종양의 유리체내 미만성 파종
* 3군 (매우 높은 위험) : 종양으로 인해 신생혈관 녹내장, 소눈증, 종양이 수정체, 섬모체 등 전안부 구조물을 침범하거나, 해당 위치까지 확장된 경우, 미만성 침윤성 종양, 유리체 출혈로 매체 혼탁이 발생한 경우, 무균 안와 연조직염을 동반한 종양 괴사 안구 위축


== 자연 경과 ==
== 자연 경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