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모세포종: 두 판 사이의 차이

1,278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9월 24일 (금)
잔글
잔글 (→‎분류)
잔글 (→‎분류)
30번째 줄: 30번째 줄:
* D군 (높은 위험) : 유의한 유리체 및 망막하 파종이 있는 미만성 질환 - 하나의 사분면 이상의 망막하액에서 전체 망막 박리까지, 판 또는 결절형 형태의 미만성 망막하 파종, 무혈관성 종양의 유리체내 미만성 파종
* D군 (높은 위험) : 유의한 유리체 및 망막하 파종이 있는 미만성 질환 - 하나의 사분면 이상의 망막하액에서 전체 망막 박리까지, 판 또는 결절형 형태의 미만성 망막하 파종, 무혈관성 종양의 유리체내 미만성 파종
* E군 (매우 높은 위험) : 종양으로 인해 신생혈관 녹내장, 소눈증, 종양이 수정체, 섬모체 등 전안부 구조물을 침범하거나, 해당 위치까지 확장된 경우, 미만성 침윤성 종양, 유리체 출혈로 매체 혼탁이 발생한 경우, 무균 안와 연조직염을 동반한 종양 괴사 안구 위축
* E군 (매우 높은 위험) : 종양으로 인해 신생혈관 녹내장, 소눈증, 종양이 수정체, 섬모체 등 전안부 구조물을 침범하거나, 해당 위치까지 확장된 경우, 미만성 침윤성 종양, 유리체 출혈로 매체 혼탁이 발생한 경우, 무균 안와 연조직염을 동반한 종양 괴사 안구 위축
=== Reese-Ellsworth 분류 ===
대부분의 환자들이 방사선 치료 (EBRT) 를 시행받고 치료 성공률을 예측하기 위해서 1960년대에 만들어졌고, 현재는 EBRT는 거의 시행하지 않기에 이 분류법은 잘 사용하지 않지만, 안구내 크기 및 침범 정도에 따라 안구 보존 가능성 등을 평가하기 위해 이 분류 체계를 활용하기도 한다.
* 1군 (very favorable)
** 1a : 4 DD (유두 직경) 미만 크기 단일 종양이 적도부 또는 적도부 후방에 있는 경우
** 1b : 4 DD 미만 크기 다발성 종양이 적도부 또는 적도부 후방에 있는 경우
* 2군 (favorable)
** 2a : 4~10 DD 크기의 단일 종양이 적도부 또는 적도부 후방에 있는 경우
** 2b. 4~10 DD 크기의 다발성 종양이 적도부 후방에 있는 경우
* 3군 (doubtful)
** 3a : 크기에 관계없이 종양이 적도부 전방에 위치한 경우
** 3b : 10 DD 초과크기 단일 종양이 적도부 후방에 있는 경우
* 4군 (unfavorable)
** 4a : 10 DD 초과 크기를 포함한 다발성 종양
** 4b : 종양이 톱니 둘레 전방을 침범한 경우
* 5군 (very unfavorable)
** 5a : 망막 절반을 넘어서는 크기의 거대한종양
** 5b : 유리체 파종을 보이는 경우


== 자연 경과 ==
== 자연 경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