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식 유리체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577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9월 24일 (금)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병인)
4번째 줄: 4번째 줄:
== 병인 ==
== 병인 ==
여러 형태의 망막 손상에 대한 과도한 회복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 접촉 억제 (contact inhibition) 상실로 신경교세포 또는 망막 색소상피세포가 망막의 앞면 및 뒷면으로 이동하고 증식한다. 이어서 박리된 유리 체막 후면으로 이동하여 덮어버리고 수축하면 망막에 접선 견인이 발생하여 다발성 별모양 및 고정 망막 주름이 나타난다. 비슷한 기전으로 유리체 피질의 아교질도 수축한다.
여러 형태의 망막 손상에 대한 과도한 회복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 접촉 억제 (contact inhibition) 상실로 신경교세포 또는 망막 색소상피세포가 망막의 앞면 및 뒷면으로 이동하고 증식한다. 이어서 박리된 유리 체막 후면으로 이동하여 덮어버리고 수축하면 망막에 접선 견인이 발생하여 다발성 별모양 및 고정 망막 주름이 나타난다. 비슷한 기전으로 유리체 피질의 아교질도 수축한다.
== 발생 ==
앞 PVR은 유리체기저의 뒤 경계선에서부터 앞쪽으로 형성되는 수축성 세포막에 의한 유리체 망막 병증으로 정의한다. 병증의 범위는 유리체기저의 뒤 경계선 망막에서부터 섬모체,홍채의 후면, 동공경계 그리고 심지어 각막까지 앞으로 뻗칠 수 있다. 세포막이 앞으로 수축하면 주변 망막이 앞쪽으로 당겨져 안구 적도부와 평 행되게 반지모양 망막 주름이 만들어지고, 섬모체와의 사이에는 골이 생기며, 골에서부터 뻗치는 부챗살 모양의 방사선 망막 주름이 형성된다. 반지모양 망막 주름이 중앙으로 더욱 수축하여 좁아져 뒤쪽 망막이 당겨지면 여러 크기의 깔때기 모양 전망막 박리 형태를 취하게 된다.
섬모체와 망막에 심한 견인이 계속 걸리면 섬모체 상 피, 망막의 찢어진 파편, 수정체 잔재, 인공수정체의 지지 부, 홍채의 파편 등도 섬모체 뒤 골에 모이게 되고 서로 합 병되면 세포증식과 견인을 더욱 조장하게 된다. 게다가 신 생혈관생성까지 합쳐지면 앞증식유리체망막병증을 더욱 악화시키며 섬모체와 안구의 앞 구조물을 모두 파괴한다 (그림 4).    이러한 일련의 과정으로 인해 망막이 더욱 앞으 로 당겨지고 증식막은 더욱 두꺼워진다. 견인으로 섬모체 가 일부 박리되면서 혈액방수장벽이 붕괴되거나 방수 생 산에 장해를 일으키면 저안압을 초래할수 있다.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
최근 <span style='color:blue;'>[[열공 망막 박리]] 수술을 받은 눈</span>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수술 과정에서 증식 세포가 유리체강으로 퍼져 나가고, 혈액-눈 장벽 손상으로 세포 증식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이다. 만성 망막 박리, 외상, 염증, 바이러스 감염 등의 경우에는 수술력과 관계 없이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이 자연 발생할 수 있다.<br /><span style='color:blue;'>거대 망막 열공, 유리체 출혈(수술 전, 중, 후), 2사분면보다 넓은 광범위 망막 박리, 술 후 맥락막 박리, 포도막염 또는 외상에 의해 염증이 증가한 경우, 다발성 또는 큰 열공에 과도한 냉동 응고술을 한 경우 그리고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이 이미 발생한 눈</span>과 같은 위험 요소를 가진 경우에는 수술 후 발생 또는 악화 여부를 면밀하게 관찰해야 한다.<br />냉동응고술은 망막 열공을 통해 망막 색소상피를 유리체강내로 퍼지게 하므로 여러 번의 냉동응고술과 냉동응고술 후 지나친 공막 누르기는 피해야 한다.
최근 <span style='color:blue;'>[[열공 망막 박리]] 수술을 받은 눈</span>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수술 과정에서 증식 세포가 유리체강으로 퍼져 나가고, 혈액-눈 장벽 손상으로 세포 증식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이다. 만성 망막 박리, 외상, 염증, 바이러스 감염 등의 경우에는 수술력과 관계 없이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이 자연 발생할 수 있다.<br /><span style='color:blue;'>거대 망막 열공, 유리체 출혈(수술 전, 중, 후), 2사분면보다 넓은 광범위 망막 박리, 술 후 맥락막 박리, 포도막염 또는 외상에 의해 염증이 증가한 경우, 다발성 또는 큰 열공에 과도한 냉동 응고술을 한 경우 그리고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이 이미 발생한 눈</span>과 같은 위험 요소를 가진 경우에는 수술 후 발생 또는 악화 여부를 면밀하게 관찰해야 한다.<br />냉동응고술은 망막 열공을 통해 망막 색소상피를 유리체강내로 퍼지게 하므로 여러 번의 냉동응고술과 냉동응고술 후 지나친 공막 누르기는 피해야 한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