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모양 맥락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7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9월 25일 (토)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뱀모양 맥락막염 (serpiginous choroiditis; SC) 은 "후부 포도막염 중 매우 드문 질환으로 진행하는 맥락막과 망막 색소상피증의 만성 염증 질환...)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뱀모양 맥락막염 (serpiginous choroiditis; SC) 은 "후부 포도막염 중 매우 드문 질환으로 진행하는 맥락막과 망막 색소상피증의 만성 염증 질환이다. 재발이 흔하며 반수 이상에서 양안을 침범하나 비대칭적인 경우가 많다.
'''뱀모양 맥락막염 (serpiginous choroiditis; SC)'''{{망막}} 은 "후부 포도막염 중 매우 드문 질환으로 진행하는 맥락막과 망막 색소상피증의 만성 염증 질환이다. 재발이 흔하며 반수 이상에서 양안을 침범하나 비대칭적인 경우가 많다.
== 역학 ==
== 역학 ==
예전에는 주로 백인들에서 보고되었으나 현재 인종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장년층에서 주로 호발하며, 남자에서 빈도가 더 높다. 핀란드의 한 연구에서 일반인들에 비해 HLA-B7이 양성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하였으나, 다른 자가면역 질환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알려져 있지 않다.
예전에는 주로 백인들에서 보고되었으나 현재 인종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장년층에서 주로 호발하며, 남자에서 빈도가 더 높다. 핀란드의 한 연구에서 일반인들에 비해 HLA-B7이 양성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하였으나, 다른 자가면역 질환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알려져 있지 않다.
16번째 줄: 16번째 줄:
== 예후 및 합병증 ==
== 예후 및 합병증 ==
80% 이상에서 황반부를 침범한다. [[맥락막 혈관 신생]]이 13~35%의 빈도로 발생하며 이 경우 시력 예후가 나쁘다.
80% 이상에서 황반부를 침범한다. [[맥락막 혈관 신생]]이 13~35%의 빈도로 발생하며 이 경우 시력 예후가 나쁘다.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