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모양 맥락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크기가 바뀐 것이 없음 ,  2021년 9월 25일 (토)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13번째 줄: 13번째 줄:
* ICGA : 초기에는 크기와 경계가 불분명한 병변들이 저형광
* ICGA : 초기에는 크기와 경계가 불분명한 병변들이 저형광
== 비수술적 치료 ==
== 비수술적 치료 ==
급성기에는 전신적인 스테로이드나 면역 억제제의 투여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면역 억제제의 사용이 재발을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가 있으나, 아직 면역억제제 사용에 대한 적응증이나 지침은 확립되지 않았다. 황반부의 [[맥락막 혈관 신생]]이 시력 상실의 흔한 원인이며, 항혈관내피 성장인자 약제를 유리체강으로 주사한다.
급성기에는 전신적인 스테로이드나 면역 억제제의 투여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면역 억제제의 사용이 재발을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가 있으나, 아직 면역억제제 사용에 대한 적응증이나 지침은 확립되지 않았다. 황반부의 [[맥락막 신생혈관]]이 시력 상실의 흔한 원인이며, 항혈관내피 성장인자 약제를 유리체강으로 주사한다.
 
== 예후 및 합병증 ==
== 예후 및 합병증 ==
80% 이상에서 황반부를 침범한다. [[맥락막 혈관 신생]]이 13~35%의 빈도로 발생하며 이 경우 시력 예후가 나쁘다.
80% 이상에서 황반부를 침범한다. [[맥락막 혈관 신생]]이 13~35%의 빈도로 발생하며 이 경우 시력 예후가 나쁘다.
{{참고}}
{{참고}}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