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비수술적 치료)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 [[급성 후부 다발성 판모양 색소상피증|APMPPE]] : APMPPE는 병변 모양이 난원형에서 불규 칙한원형이며 병변들이 서로분리되어 있다. 병변은 안저 전체에 임의로 분포한다. 많은 경우 2주 이내에 저절로 좋 아지며, 망막색소상피의 변화는 관찰되나 심각한 맥락막 위축은 드물다. 또한 재발을 잘 하지 않고 영구적 시력손실이 흔하지 않다. 주로 젊은 사람들에서 이환되며 약 1/3에서 상기도 감염의 병력이 발견된다. | * [[급성 후부 다발성 판모양 색소상피증|APMPPE]] : APMPPE는 병변 모양이 난원형에서 불규 칙한원형이며 병변들이 서로분리되어 있다. 병변은 안저 전체에 임의로 분포한다. 많은 경우 2주 이내에 저절로 좋 아지며, 망막색소상피의 변화는 관찰되나 심각한 맥락막 위축은 드물다. 또한 재발을 잘 하지 않고 영구적 시력손실이 흔하지 않다. 주로 젊은 사람들에서 이환되며 약 1/3에서 상기도 감염의 병력이 발견된다. | ||
그 외에 감별 질환들로는 결핵, 히스토플라스마증, [[톡소플라즈마증]], 헤르페스 바이러스, 매독 등 감염에 의한 망막맥락막염이나 [[사르코이드증]], 림프종 과 같은 전신 질환, 마지막으로 나이관련 황반변성이나 혈 관줄무늬 망막병증]] 등이 있다. | 그 외에 감별 질환들로는 결핵, 히스토플라스마증, [[톡소플라즈마증]], 헤르페스 바이러스, 매독 등 감염에 의한 망막맥락막염이나 [[사르코이드증]], 림프종 과 같은 전신 질환, 마지막으로 나이관련 황반변성이나 혈 관줄무늬 망막병증]] 등이 있다. | ||
== | == 치료 == | ||
급성기에는 | * 스테로이드, 면역 억제제 : 황반부의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해 급성기에는 고용량 전신 스테로이드 제제나 면역 억제제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재발이 매우 흔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전신 스테로이드 제제 단독 또는 다른 면역억제제와의 병합 사용이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예방적인 면역 억제제의 사용이 재발을 낮춘다는 사실에 대해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다. | ||
* 유리체강내 스테로이드 주사 : 스테로이드나 전신 면역 억제제를 사용 못 하는 급성기 환자에서나 이차적인 황반부 맥락막 신생혈관 억제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 |||
* 유리체강내 anti-VEGF 주사 : 흔한 합병증인 황반부 맥락막 신생혈관이 생긴 경우 도움이 된다. | |||
== 예후 및 합병증 == | == 예후 및 합병증 == | ||
80% 이상에서 황반부를 침범한다. [[맥락막 혈관 신생]]이 13~35%의 빈도로 발생하며 이 경우 시력 예후가 나쁘다. | 80% 이상에서 황반부를 침범한다. [[맥락막 혈관 신생]]이 13~35%의 빈도로 발생하며 이 경우 시력 예후가 나쁘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