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모양 맥락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658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9월 26일 (일)
잔글
잔글 (→‎치료)
9번째 줄: 9번째 줄:
병의 이환 시기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호소할 수 있다. 황반부를 침범하기 전까지는 증상을 못 느끼는 경우도 있으며, 증상으로는 중심시력 감소나 비문증, 그리고 변형시 등을 호소한다. 양안을 침범하는 경우가 많으나 증상의 시작은 단안에서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병의 이환 시기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호소할 수 있다. 황반부를 침범하기 전까지는 증상을 못 느끼는 경우도 있으며, 증상으로는 중심시력 감소나 비문증, 그리고 변형시 등을 호소한다. 양안을 침범하는 경우가 많으나 증상의 시작은 단안에서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 검사 소견 ==
== 검사 소견 ==
* 안저 : 전안부의 염증 소견은 동반되지 않으나 유리체내 세포들이 발견되기도 한다. 활동기에 나타나는 가장 흔한 안저 소견은 시신경 주위를 둘러 황반부를 향하여 손가락 모양으로 구불구불하게 연장되는 회백색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병변이다. 그 외에도 황반부만을 침범하는 병변이나 드물게 여러 개의 병변들이 망막 주변부에 위치하는 경우도 있다9.
* 안저 : 전안부의 염증 소견은 동반되지 않으나 유리체내 세포들이 발견되기도 한다. 활동기에 나타나는 가장 흔한 안저 소견은 시신경 주위를 둘러 황반부를 향하여 손가락 모양으로 구불구불하게 연장되는 회백색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병변이다. 그 외에도 황반부만을 침범하는 병변이나 드물게 여러 개의 병변들이 망막 주변부에 위치하는 경우도 있다<ref>Cunningham ET Jr et al. The creeping choroiditides - SC and multifocal SC. ''Ocul Immunol Inflamm''. 2014 Oct;22(5):345-8. [https://pubmed.ncbi.nlm.nih.gov/25229161/ 연결]</ref>.
* AF : 활동기에는 경계가 불분명한 과형광이 나타나며 활동기를 지나면서 병변의 경계 부분에서부터 과형광이 감소하기 시작한다10. 병변의 크기는 ICGA에서 나타나는 병변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11.
* AF : 활동기에는 경계가 불분명한 과형광이 나타나며 활동기를 지나면서 병변의 경계 부분에서부터 과형광이 감소하기 시작한다<ref>Cardillo Piccolino F et al. AF in SC.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9 Feb;247(2):179-85. [https://pubmed.ncbi.nlm.nih.gov/18802719/ 연결]</ref>. 병변의 크기는 ICGA에서 나타나는 병변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ref>Gupta A et al. AF in serpiginouslike choroiditis. ''Retina''. 2012 Apr;32(4):814-25. [https://pubmed.ncbi.nlm.nih.gov/22080913/ 연결]</ref>.
* FA : 활동성을 판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초기에는 저형광이며 후기에는 활동성 병변의 경계가 과형광으로 염색된다. 비활동성 병변은 비침 과형광을 나타낸다12.
* FA : 활동성을 판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초기에는 저형광이며 후기에는 활동성 병변의 경계가 과형광으로 염색된다. 비활동성 병변은 비침 과형광을 나타낸다<ref>Bansal R et al. Imaging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C. ''Int Ophthalmol Clin''. 2012 Fall;52(4):229-36. [https://pubmed.ncbi.nlm.nih.gov/22954945/ 연결]</ref>.
* ICGA : 초기에는 크기와 경계가 불분명한 병변들이 저형광으로 보이고 후기까지 저형광이 지속된다. 병변들의 크기나 범위는 안저 소견보다 더 심할 수 있다. 병변들의 활동성을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데, ICGA에서는 회복기에 안저 사진이나 형광안저촬영 소견보다 더 일찍 병변들이 감소되는 소견이 나타난다.
* ICGA : 초기에는 크기와 경계가 불분명한 병변들이 저형광으로 보이고 후기까지 저형광이 지속된다. 병변들의 크기나 범위는 안저 소견보다 더 심할 수 있다. 병변들의 활동성을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데, ICGA에서는 회복기에 안저 사진이나 형광안저촬영 소견보다 더 일찍 병변들이 감소되는 소견이 나타난다.
* OCT : 다른 진단 방법 들과 함께 부수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활동성병변은 외망 막층의 과반사 소견을 보이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RPE 층과 시세포층의 위축 소견을 보인다. 그외에도 낭포 황반 부종이나 맥락막 신생혈관 등의 진단, 치료, 경과 관찰에 쓰일 수 있다.
* OCT : 다른 진단 방법 들과 함께 부수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활동성병변은 외망 막층의 과반사 소견을 보이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RPE 층과 시세포층의 위축 소견을 보인다. 그외에도 낭포 황반 부종이나 맥락막 신생혈관 등의 진단, 치료, 경과 관찰에 쓰일 수 있다.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 [[급성 후부 다발성 판모양 색소상피증|APMPPE]] : APMPPE는 병변 모양이 난원형에서 불규 칙한원형이며 병변들이 서로분리되어 있다. 병변은 안저 전체에 임의로 분포한다. 많은 경우 2주 이내에 저절로 좋 아지며, 망막색소상피의 변화는 관찰되나 심각한 맥락막 위축은 드물다. 또한 재발을 잘 하지 않고 영구적 시력손실이 흔하지 않다. 주로 젊은 사람들에서 이환되며 약 1/3에서 상기도 감염의 병력이 발견된다.
* [[급성 후부 다발성 판모양 색소상피증|APMPPE]] : APMPPE는 병변 모양이 난원형에서 불규 칙한원형이며 병변들이 서로분리되어 있다. 병변은 안저 전체에 임의로 분포한다. 많은 경우 2주 이내에 저절로 좋 아지며, 망막색소상피의 변화는 관찰되나 심각한 맥락막 위축은 드물다. 또한 재발을 잘 하지 않고 영구적 시력손실이 흔하지 않다. 주로 젊은 사람들에서 이환되며 약 1/3에서 상기도 감염의 병력이 발견된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