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일스병 (Eales disease) 은 주로 주변부 망막을 침범하는 특발성의 망막 혈관염으로 인한 폐쇄성 혈관병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 역학...)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일스병 (Eales disease) 은 주로 주변부 망막을 침범하는 특발성의 망막 혈관염으로 인한 폐쇄성 혈관병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 '''일스병 (Eales disease)'''{{망막}} 은 주로 주변부 망막을 침범하는 특발성의 망막 혈관염으로 인한 폐쇄성 혈관병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 ||
== 역학 == | == 역학 == | ||
일스병은 북미에서는 드물지만 인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등 중앙 아시아에서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span style='color:blue;'>20~30대의 젊고 건강한 성인</span>에서 나타나고 대부분의 연구에서 <span style='color:blue;'>남자에서 호발</span>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Murphy 등은 미국에서 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남녀간의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많은 경우 단안에서 증상을 보이지만 FA 상 반대편 눈에도 혈관초, 주변부 망막 비관류와 같은 변화를 볼 수 있는 경우가 많아서 <span style='color:blue;'>결국 환자의 50~90%에서 양안이 침범</span>된다. | 일스병은 북미에서는 드물지만 인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등 중앙 아시아에서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span style='color:blue;'>20~30대의 젊고 건강한 성인</span>에서 나타나고 대부분의 연구에서 <span style='color:blue;'>남자에서 호발</span>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Murphy 등은 미국에서 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남녀간의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많은 경우 단안에서 증상을 보이지만 FA 상 반대편 눈에도 혈관초, 주변부 망막 비관류와 같은 변화를 볼 수 있는 경우가 많아서 <span style='color:blue;'>결국 환자의 50~90%에서 양안이 침범</span>된다.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 예후 및 합병증 == | == 예후 및 합병증 == | ||
자연 경과는 다양하다. 환자들의 시력은 정상에서 광각 소실까지 다양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좋은 시력 예후를 보인다. 광범위한 주변부 비관류에도 불구하고 대개 황반은 보존되어 중심 시력은 유지하는데 Murphy 등은 일스병 환자의 67%에서 20/15~20/40, 24%에서 20/50~20/100, 9%에서 20/200 이하의 최종 시력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Atmaca 등은 130명의 일스병 환자를 장기 추적 관찰한 결과 20%에서 시력 호전, 43%에서 시력 유지, 37%에서 시력 저하를 보고하였다.<br />시력 소실의 가장 흔한 원인은 유리체 출혈로 대부분의 경우 출혈은 아랫쪽으로 가라 앉아 수 주에서 수 개월 사이에 점차 흡수되어 중심 시력이 거의 정상으로 회복된다. 심한 영구적인 시력 소실은 대개 신생혈관과 관련된 합병증, 즉 지속되는 유리체 출혈, 망막 박리, [[신생혈관 녹내장]] 등에 의해 야기되며 때로는 [[낭포 황반 부종]], [[황반 원공]], [[망막 모세혈관 확장증]] 또는 [[망막앞막]]에 의한 시력 소실도 일어날 수 있다. | 자연 경과는 다양하다. 환자들의 시력은 정상에서 광각 소실까지 다양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좋은 시력 예후를 보인다. 광범위한 주변부 비관류에도 불구하고 대개 황반은 보존되어 중심 시력은 유지하는데 Murphy 등은 일스병 환자의 67%에서 20/15~20/40, 24%에서 20/50~20/100, 9%에서 20/200 이하의 최종 시력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Atmaca 등은 130명의 일스병 환자를 장기 추적 관찰한 결과 20%에서 시력 호전, 43%에서 시력 유지, 37%에서 시력 저하를 보고하였다.<br />시력 소실의 가장 흔한 원인은 유리체 출혈로 대부분의 경우 출혈은 아랫쪽으로 가라 앉아 수 주에서 수 개월 사이에 점차 흡수되어 중심 시력이 거의 정상으로 회복된다. 심한 영구적인 시력 소실은 대개 신생혈관과 관련된 합병증, 즉 지속되는 유리체 출혈, 망막 박리, [[신생혈관 녹내장]] 등에 의해 야기되며 때로는 [[낭포 황반 부종]], [[황반 원공]], [[망막 모세혈관 확장증]] 또는 [[망막앞막]]에 의한 시력 소실도 일어날 수 있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