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수술적 치료) |
잔글 (→역사)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일스병 (Eales disease)'''{{망막}} 은 주로 주변부 망막을 침범하는 특발성의 망막 혈관염으로 인한 폐쇄성 혈관병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 '''일스병 (Eales disease)'''{{망막}} 은 주로 주변부 망막을 침범하는 특발성의 망막 혈관염으로 인한 폐쇄성 혈관병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 ||
== 역사 == | == 역사 == | ||
Eales라는 병명은 안과의사인 Henrry Eales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는데, 1880년 젊은 남자에서 발생하는 비출혈 (epistaxis) 과 변비를 동반한 반복성 유리체 출혈에 대하여 | Eales라는 병명은 안과의사인 Henrry Eales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는데, 1880년 젊은 남자에서 발생하는 비출혈 (epistaxis) 과 변비를 동반한 반복성 유리체 출혈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ref>Eales H. Causes of retinal hemorrhage associated with epistaxis and constipation. ''Birm Med Rev'' 1880;9:262.</ref> 이를 primary recurrent retinal hemorrhage 로 명명하였다. 이후 새로 개발된 직상 검안경으로 이상 망막 정맥과 주변부 망막에서 모세혈관이 없는 지역을 기술하였으나 출혈에 선행하거나 동반하는 신생 혈관이나 염증을 관찰하지는 못했다<ref>Eales H. Primary retinal hemorrhage in young men. ''Ophthal mol Rev'' 1882;1:41.</ref>. | ||
1887년 Wadsworth는 이 병이 염증 및 혈관 신생과 관련이 있다고 기술하였으며<ref>Wadsworth OF. Recurrent retinal hemorrhage,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blood vessels in the vitreous. ''Ophthalmol Rev'' 1887;6:289-99.</ref> 이후 수많은 저자들이 일스병이라는 이름하에 망막 혈관염의 유무에 따라 망막주위 정맥염과 특발성 반복 유리체 출혈로 구분하였다. 반면 Duke-Elder는 대부분의 특발성 출혈이 사르코이드증, [[전신 홍반 루프스]], 당뇨, 겸상 적혈구 빈혈증, 교원질 혈관병과 같은 원인에 의해 일어난다고 하였다<ref>Duke-Elder WS. Disease of the retina. In: Duke-Elder WS, ed. System of ophthalmology. St. Louis, MO; 1967.</ref>. 하지만 이런 원인들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특발성 주변부 망막 비관류와 망막주위 혈관염을 가진 환자들을 볼 수 있다. 현재 많은 연구자 들이 일스병이 특징적인 안저 소견과 FA 소견을 갖는 하나의 질환이 라는 것에 의견을 같01 하고 있다<ref>Gieser SC et al. Eales disease. In: Ryan S, ed. Retinal disease. St. Louis, MO; 1989</ref>. 또한 이전에는 망막 소정맥의 이상만을 강조하는 '망막정맥주위염'이라고 불려왔지만<ref>Murphy RP et al. Retinal and vitreous findings in Eales disease. ''IOVS'' 1986;27:121.</ref> 현재는 소동맥과 소정맥을 모두 침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Elliot AJ et al. The present status of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eriphlebitis retinae (Eales' disease). ''Can J Ophthalmol''. 1969 Apr;4(2):117-22. [https://pubmed.ncbi.nlm.nih.gov/4305904/ 연결]</ref>. | |||
== 역학 == | == 역학 == | ||
일스병은8 북미에서는 드물지만 인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등 중앙 아시아에서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span style='color:blue;'>20~30대의 젊고 건강한 성인</span>에서 나타나고 대부분의 연구에서 <span style='color:blue;'>남자에서 호발</span>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Murphy 등은 미국에서 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남녀간의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많은 경우 단안에서 증상을 보이지만 FA 상 반대편 눈에도 혈관초, 주변부 망막 비관류와 같은 변화를 볼 수 있는 경우가 많아서 <span style='color:blue;'>결국 환자의 50~90%에서 양안이 침범</span>된다. | 일스병은8 북미에서는 드물지만 인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등 중앙 아시아에서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span style='color:blue;'>20~30대의 젊고 건강한 성인</span>에서 나타나고 대부분의 연구에서 <span style='color:blue;'>남자에서 호발</span>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Murphy 등은 미국에서 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남녀간의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많은 경우 단안에서 증상을 보이지만 FA 상 반대편 눈에도 혈관초, 주변부 망막 비관류와 같은 변화를 볼 수 있는 경우가 많아서 <span style='color:blue;'>결국 환자의 50~90%에서 양안이 침범</span>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