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역사) |
잔글 (→역학)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역학 == | == 역학 == | ||
일스병은<ref>Albert DM et al. Albert & Jakobiecs principles and practice of ophthalmology, 3rd ed. Philadelphia: W.B. Saunders, 2008;1835-9.</ref> 북미에서는 드물지만 인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등 중앙 아시아에서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span style='color:blue;'>20~30대의 젊고 건강한 성인</span>에서 나타나고 대부분의 연구에서 <span style='color:blue;'>남자에서 호발</span>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Murphy 등은 미국에서 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남녀간의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많은 경우 단안에서 증상을 보이지만 FA 상 반대편 눈에도 혈관초, 주변부 망막 비관류와 같은 변화를 볼 수 있는 경우가 많아서 <span style='color:blue;'>결국 환자의 50~90%에서 양안이 침범</span>된다. | |||
== 원인 == | == 원인 == | ||
과거 많은 연구에서 결핵과의 연관성을 강조해 왔으나 tuberculin 단백에 대한 양성 반응이 정상보다 높은 빈도를 보인다는 것 외에는 결핵균에 의한 눈이나 망막의 감염과 관련된 변화를 증명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직접 감염보다는 <span style='color:blue;'>tuberculin 단백에 대한 면역 매개 과민반응</span>으로 믿고 있다. Rennie 등은 일스병 환자 32명 중 48%에서 결핵을 앓았거나 노출된 경험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PCR을 이용하여 일스병 환자의 유리체와 망막앞막에서 결핵균 검출이 유의하게 높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다. 일스병 환자의 혈청 단백질 전기영동검사에서는 α-globulin 증가와 알부민 감소가 보고되었으며, α-1 acid glycoprotein 등 몇몇의 독특한 단백질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외부 인자에 대한 변화된 면역 반응이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HLA DR3, A1, B8, B5(51)은 정상인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반면, 대부분의 일스병 환자에서 나타난다. 또한 HLA DQ2, DR52, 그리고 Bw6도 높은 빈도로 발견된다. | 과거 많은 연구에서 결핵과의 연관성을 강조해 왔으나 tuberculin 단백에 대한 양성 반응이 정상보다 높은 빈도를 보인다는 것 외에는 결핵균에 의한 눈이나 망막의 감염과 관련된 변화를 증명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직접 감염보다는 <span style='color:blue;'>tuberculin 단백에 대한 면역 매개 과민반응</span>으로 믿고 있다. Rennie 등은 일스병 환자 32명 중 48%에서 결핵을 앓았거나 노출된 경험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PCR을 이용하여 일스병 환자의 유리체와 망막앞막에서 결핵균 검출이 유의하게 높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다. 일스병 환자의 혈청 단백질 전기영동검사에서는 α-globulin 증가와 알부민 감소가 보고되었으며, α-1 acid glycoprotein 등 몇몇의 독특한 단백질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외부 인자에 대한 변화된 면역 반응이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HLA DR3, A1, B8, B5(51)은 정상인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반면, 대부분의 일스병 환자에서 나타난다. 또한 HLA DQ2, DR52, 그리고 Bw6도 높은 빈도로 발견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