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역학) |
잔글 (→비수술적 치료)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특발성의 질환이므로 원인을 알 수 있는 다른 망막 혈관병증과 감별해야 한다. 당뇨병, 겸상 적혈구 빈혈증, 사르코이드증, 전신 홍반 루푸스와 같은 전신 질환에서도 망막염증, 비관류, 혈관신생이 발생하므로 자세한 병력 청취와 적절한 검사로 감별해야 한다. 그리고 [[망막 분지 정맥 폐쇄]], [[망막 중심 정맥 폐쇄]], [[코우츠병]], [[중간 포도막염]] 등과 같은 안질환과도 감별해야 한다. | 특발성의 질환이므로 원인을 알 수 있는 다른 망막 혈관병증과 감별해야 한다. 당뇨병, 겸상 적혈구 빈혈증, 사르코이드증, 전신 홍반 루푸스와 같은 전신 질환에서도 망막염증, 비관류, 혈관신생이 발생하므로 자세한 병력 청취와 적절한 검사로 감별해야 한다. 그리고 [[망막 분지 정맥 폐쇄]], [[망막 중심 정맥 폐쇄]], [[코우츠병]], [[중간 포도막염]] 등과 같은 안질환과도 감별해야 한다. | ||
== 비수술적 치료 == | == 비수술적 치료 == | ||
비활동성 | === 비활동성 혈관염 === | ||
6개월에서 1년 간격으로 경과 관찰만 해볼 수 있으며 유리체 출혈이 있는 경우라도 망막 박리의 징후만 없다면 4~6주 간격으로 경과 관찰해볼 수 있다. | |||
=== 활동성 혈관염 === | |||
* 스테로이드 : 주된 치료법이다. 용량은 염증의 정도에 따라 정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경구 prednisolone (1mg/kg) 을 6~8주에 걸쳐 증상에 따라 감량하면 된다. 만약 전신 스테로이드에 부작용이 있거나 황반 부종이 있는 경우 안구주위 스테로이드 주사가 도움이 된다. 또한 최근에 급성 염증시기에 경구와 안구 주위 스테로이드 주사에 반응이 없는 환자에서 [[트리암시놀론]] 유리체강내 주사가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보고가 있다. 면역 억제제는 전신 스테로이드에 부작용이 있거나 반응이 없는 경우에 제한적으로 사용한다. 최근 [[항 혈관내피 성장인자|anti-VEGF]] 주사 치료로 혈관 신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고하고 있다. | |||
* 면역 억제제 : 전신 스테로이드에 부작용이 있거 나 반응01 없는 경우에 제한적으로 사용한다. | |||
* 허혈 망막에 대한 광응고술 : 신생혈관에 대한 선택적인 치료로 여겨지고 있으며<ref>Spitznas M et al. Treatment of Eales' disease with photocoagulation. ''Albrecht Von Graefes Arch Klin Exp Ophthalmol''. 1975;194(3):193-8. [https://pubmed.ncbi.nlm.nih.gov/1079412/ 연결]</ref>, 비관류 망막을 포함한 관류와 비관류 망막의 경계부에 비교적 강하지 않게 전반적으로 광응고술은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ref>Magargal LE et al. Treatment of Eales' disease with scatter laser photocoagulation. ''Ann Ophthalmol''. 1989 Aug;21(8):300-2. [https://pubmed.ncbi.nlm.nih.gov/2478067/ 연결]</ref>. 하지만 비관류 망막은 관류 망막에 비해 약하기 때문에 시술 시 주의를 요한다. 또한 냉동 치료와 광응고술을 같이 시행하기도 한다<ref>Das T et al. Combined photocoagulation and cryotherapy in treatment of Eales' retinopathy. Preliminary report. ''Indian J Ophthalmol''. 1987;35(5-6):108-18. [https://pubmed.ncbi.nlm.nih.gov/3508757/연결]</ref>. 증상이 없는 반대편 눈의 허혈 망막에 대한 예방적 목적의 광응고술은 병의 진행을 막고 잠재적인 합병증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고려해볼 만하다. | |||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 ||
허혈 망막에 대한 광응고술은 신생혈관에 대한 선택적인 치료로 여겨지고 있으며 비관류 망막을 포함한 관류와 비관류 망막의 경계부에 비교적 강하지 않게 전반적으로 광응고술을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비관류 망막은 관류 망막에 비해 약하기 때문에 시술 시 주의를 요한다. 또한 냉동 치료와 광응고술을 같이 시행하기도 한다. 증상이 없는 반대편 눈의 허혈 망막에 대한 예방적 목적의 광응고술은 병의 진행을 막고 잠재적인 합병증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고려해볼만 하다. | 허혈 망막에 대한 광응고술은 신생혈관에 대한 선택적인 치료로 여겨지고 있으며 비관류 망막을 포함한 관류와 비관류 망막의 경계부에 비교적 강하지 않게 전반적으로 광응고술을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비관류 망막은 관류 망막에 비해 약하기 때문에 시술 시 주의를 요한다. 또한 냉동 치료와 광응고술을 같이 시행하기도 한다. 증상이 없는 반대편 눈의 허혈 망막에 대한 예방적 목적의 광응고술은 병의 진행을 막고 잠재적인 합병증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고려해볼만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