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감 안염: 두 판 사이의 차이

366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9월 27일 (월)
잔글
잔글 (→‎예방)
23번째 줄: 23번째 줄:
안구 천공성 외상이 발생한 경우에 교감 안염을 예방하기 위해 창상 부위를 잘 처리하고 모든 천공성 외상 부위를 가능한 빨리 봉합한다. 시력 보존이 가능한 경우라면 가능한 모든 치료를 하는 것이 원칙이나 시력 보존이나 안구 유지가 어려운 경우에는 2주 이내에 안구 적출을 시행하는 것이 예방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ref>Reynard M et al. Effect of corticosteroid treatment and enucleation on the visual prognosis of SO. ''AJO''. 1983 Sep;96(3):290-4. [https://pubmed.ncbi.nlm.nih.gov/6614106/ 연결]</ref>. 교감 안염이 일단 발생한 이후에 안구 적출을 시행하는 것에 대해선 논란의 여지가 있다. 발생 초기에 안구 적출을 시행하면 예후를 좋게 한다는 보고가 있으나 이와 반대의 연구 결과도 있다.
안구 천공성 외상이 발생한 경우에 교감 안염을 예방하기 위해 창상 부위를 잘 처리하고 모든 천공성 외상 부위를 가능한 빨리 봉합한다. 시력 보존이 가능한 경우라면 가능한 모든 치료를 하는 것이 원칙이나 시력 보존이나 안구 유지가 어려운 경우에는 2주 이내에 안구 적출을 시행하는 것이 예방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ref>Reynard M et al. Effect of corticosteroid treatment and enucleation on the visual prognosis of SO. ''AJO''. 1983 Sep;96(3):290-4. [https://pubmed.ncbi.nlm.nih.gov/6614106/ 연결]</ref>. 교감 안염이 일단 발생한 이후에 안구 적출을 시행하는 것에 대해선 논란의 여지가 있다. 발생 초기에 안구 적출을 시행하면 예후를 좋게 한다는 보고가 있으나 이와 반대의 연구 결과도 있다.


안구 적출술 대신에 안구 내용물 적출술을 시행하는 것에 대해서도 이견이 있다. 안구 내용물 적출술이 기술적으로 더 쉬운 장점이 있으나 안구 내에 남아있는 포도막 조직 때문에 수술 후에도 교감 안염이 발생된 경우가 있으며, 수술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도 명쾌한 결론을 내리지 못한 상태이다.
안구 적출술 대신에 안구 내용물 적출술을 시행하는 것에 대해서도 이견이 있다. 안구 내용물 적출술이 기술적으로 더 쉬운 장점이 있으나 안구 내에 남아있는 포도막 조직 때문에 수술 후에도 교감 안염이 발생된 경우가 있으며<ref>Ruedemann AD. Sympathetic Ophthalmia after Evisceration. ''Trans Am Ophthalmol Soc''. 1963;61:274-314. [https://pubmed.ncbi.nlm.nih.gov/16693615/ 연결]</ref><ref>Griepentrog GJ et al. Sympathetic ophthalmia following evisceration : a rare case.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05 Jul;21(4):316-8. [https://pubmed.ncbi.nlm.nih.gov/16052152/ 연결]</ref>, 수술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도 명쾌한 결론을 내리지 못한 상태이다.


== 비수술적 치료 ==
== 비수술적 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