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감 안염: 두 판 사이의 차이

161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9월 27일 (월)
잔글
37번째 줄: 37번째 줄:
== 수술적 치료 ==
== 수술적 치료 ==
합병된 백내장은 충분한 염증 조절과 함께 수술을 시행한다. 녹내장이 합병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약물 치료, 홍채 절개술이나 수술을 시행한다.
합병된 백내장은 충분한 염증 조절과 함께 수술을 시행한다. 녹내장이 합병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약물 치료, 홍채 절개술이나 수술을 시행한다.
== 예후 및 합병증 ==
== 예후 ==
적극적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양안이 실명될 있으며 안성적인 경과를 취하므로 환자에 대한 상담과 교육이 중요하다. 황반 반흔, 시신경 이상, 안구 위축 등이 실명의 원인이 된다. 최근 보고에서 진단 당시 교감안의 시력이 0.1 이하인 빈도가 26%였으며, 그 뒤 0.1 이하로 악화될 위험은 1년에 10%였다. 하지만 염증과 각종 합병증에 대한 치료가 이루어지는 경우 평균 2.5년의 경과 관찰에 75%에서 0.1 이상의 시력을 유지할 수 있었다.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 이전에는 시력 예후는 대체적으로 좋지 못하였으나 스테로이드와 다양한 면역 억제제를 사용한 이후부터는 눈에 띄게 예후가 좋아졌다. 치료하지 않는다면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는 만성적인 경과를 보여 결과적으로 안구 위축에까지 이 를 있다. 이외에도 발생할 수 있는 장기적인 합병증으 로는 백내장, 녹내장, 저안압, 지속적인 황반 부종이나 망막 박리 등이 생길 수 있다.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이런 합병증들이 발생할 확률은 40%에 달하며 최종적으로 절반 정도에서 0.5 이하의 시력을 가지며 25%의 환자는 실명에 이르게 된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