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임상 소견) |
잔글 (→역학)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매우 드문 질환으로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안구의 천공성 외상 후에는 0.19%, 안구 수술 후에는 0.007% 정도에서 생긴다고 보고되었다<ref>Liddy L et al. Sympathetic Ophthalmia in Canada. ''Can J Ophthalmol''. 1972 Apr;7(2):157-9. [https://pubmed.ncbi.nlm.nih.gov/4274314/ 연결]</ref>. 최근의 수술에서의 기술적 발전으로 예전 보다 발생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생각되나 여전히 안구내 수술이 주요한 원인이며 [[유리체 절제술]] 후 발생할 확률은 0.01%로 보고되고 있어 수술 후 발생 가능성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ref>Gass JD. Sympathetic ophthalmia following vitrectomy. ''AJO''. 1982 May;93(5):552-8. [https://pubmed.ncbi.nlm.nih.gov/7081353/ 연결]</ref>. | 매우 드문 질환으로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안구의 천공성 외상 후에는 0.19%, 안구 수술 후에는 0.007% 정도에서 생긴다고 보고되었다<ref>Liddy L et al. Sympathetic Ophthalmia in Canada. ''Can J Ophthalmol''. 1972 Apr;7(2):157-9. [https://pubmed.ncbi.nlm.nih.gov/4274314/ 연결]</ref>. 최근의 수술에서의 기술적 발전으로 예전 보다 발생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생각되나 여전히 안구내 수술이 주요한 원인이며 [[유리체 절제술]] 후 발생할 확률은 0.01%로 보고되고 있어 수술 후 발생 가능성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ref>Gass JD. Sympathetic ophthalmia following vitrectomy. ''AJO''. 1982 May;93(5):552-8. [https://pubmed.ncbi.nlm.nih.gov/7081353/ 연결]</ref>. | ||
외상 후 교감 안염이 발생하기까지의 기간은 5일~66년까지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80%의 경우에서 외상 후 3개월 이내, 90%의 경우에서 1년 이내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Goto H et al. Sympathetic ophthalmia and VKH syndrome. ''Int Ophthalmol Clin''. 1990 Fall;30(4):279-85. [https://pubmed.ncbi.nlm.nih.gov/2228475/ 연결]</ref><ref>Kilmartin DJ et al. Prospective surveillance of SO in the UK and Republic of Ireland. Br J Ophthalmol. 2000 Mar;84(3):259-63. [https://pubmed.ncbi.nlm.nih.gov/10684834/ 연결]</ref><ref>Castiblanco CP et al. Sympathetic ophthalmia.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9 Mar;247(3):289-302. [https://pubmed.ncbi.nlm.nih.gov/18795315/ 연결]</ref>. 가장 많이 발생하는 기간은 외상 후 4-8주 후이며,외상 후 2주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 |||
== 유전 == | == 유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