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감 안염: 두 판 사이의 차이

68 바이트 제거됨 ,  2021년 9월 27일 (월)
잔글
잔글 (→‎유전)
5번째 줄: 5번째 줄:
외상 후 교감 안염이 발생하기까지의 기간은 5일~66년까지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80%의 경우에서 외상 후 3개월 이내, 90%의 경우에서 1년 이내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Goto H et al. Sympathetic ophthalmia and VKH syndrome. ''Int Ophthalmol Clin''. 1990 Fall;30(4):279-85. [https://pubmed.ncbi.nlm.nih.gov/2228475/ 연결]</ref><ref>Kilmartin DJ et al. Prospective surveillance of SO in the UK and Republic of Ireland. Br J Ophthalmol. 2000 Mar;84(3):259-63. [https://pubmed.ncbi.nlm.nih.gov/10684834/ 연결]</ref><ref>Castiblanco CP et al. Sympathetic ophthalmia.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9 Mar;247(3):289-302. [https://pubmed.ncbi.nlm.nih.gov/18795315/ 연결]</ref>. 가장 많이 발생하는 기간은 외상 후 4-8주 후이며,외상 후 2주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외상 후 교감 안염이 발생하기까지의 기간은 5일~66년까지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80%의 경우에서 외상 후 3개월 이내, 90%의 경우에서 1년 이내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Goto H et al. Sympathetic ophthalmia and VKH syndrome. ''Int Ophthalmol Clin''. 1990 Fall;30(4):279-85. [https://pubmed.ncbi.nlm.nih.gov/2228475/ 연결]</ref><ref>Kilmartin DJ et al. Prospective surveillance of SO in the UK and Republic of Ireland. Br J Ophthalmol. 2000 Mar;84(3):259-63. [https://pubmed.ncbi.nlm.nih.gov/10684834/ 연결]</ref><ref>Castiblanco CP et al. Sympathetic ophthalmia.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9 Mar;247(3):289-302. [https://pubmed.ncbi.nlm.nih.gov/18795315/ 연결]</ref>. 가장 많이 발생하는 기간은 외상 후 4-8주 후이며,외상 후 2주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 유전 ==
유전적인 소인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 원인 ==
== 원인 ==
안구 천공성 외상이 60%를 차지하며, 특히 홍채나 섬모체, 맥락막이 창상에 끼어서 창상 치유를 방해하는 경우 위험이 증가한다. 약 30%는 눈 수술 뒤에 발생하며 나머지는 안구 파열이 동반된 안구 좌상, 천공성 각막 궤양, 눈속 종양(특히 괴사성 흑색종) 등과 관련된다. 천공성 외상 후 발생한 경우에서 예후가 더 나쁘다. 교감 안염을 유발할 수 있는 수술적 조작은 특히 전층 녹내장 여과 수술을 포함하여 백내장 적출술, 홍채 절제술, 전방 천자, 섬모체 해리술, 망막 박리 수술, 각막 절제술, 홍채 유착 제거술, 유리체 절제술 등이다.
안구 천공성 외상이 60%를 차지하며, 특히 홍채나 섬모체, 맥락막이 창상에 끼어서 창상 치유를 방해하는 경우 위험이 증가한다. 약 30%는 눈 수술 뒤에 발생하며 나머지는 안구 파열이 동반된 안구 좌상, 천공성 각막 궤양, 눈속 종양(특히 괴사성 흑색종) 등과 관련된다. 천공성 외상 후 발생한 경우에서 예후가 더 나쁘다. 교감 안염을 유발할 수 있는 수술적 조작은 특히 전층 녹내장 여과 수술을 포함하여 백내장 적출술, 홍채 절제술, 전방 천자, 섬모체 해리술, 망막 박리 수술, 각막 절제술, 홍채 유착 제거술, 유리체 절제술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