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후원추 각막 (posterior keratoconus) 에서는 후부 각막 곡률이 증가하여 각막이 앏아진다. == 역학 == 선천성, 비염증성이며 진행하지 않는 편측...) |
잔글 (→분류)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선천성, 비염증성이며 진행하지 않는 편측정 질환이다. 그러나 양측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드물지 않으며, 후천성으로 발생한 경우는 대개 외상과 관련이 있다. | 선천성, 비염증성이며 진행하지 않는 편측정 질환이다. 그러나 양측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드물지 않으며, 후천성으로 발생한 경우는 대개 외상과 관련이 있다. | ||
== 분류 == | == 분류 == | ||
keratoconus posticus generalis : 전체 곡률 반경의 증가를 보이고, 각막은 투명하다. | * keratoconus posticus generalis : 전체 곡률 반경의 증가를 보이고, 각막은 투명하다. | ||
keratoconus posticus curcumscriptus : 국소적 각막 후면 패임을 보이고, 기질 반흔을 동반한다. | * keratoconus posticus curcumscriptus : 국소적 각막 후면 패임을 보이고, 기질 반흔을 동반한다. | ||
== 증상 및 임상 양상 == | == 증상 및 임상 양상 == | ||
이환 부위에서 구타타(gutate)가 종종 관찰되며 병변의 주요 경계에서 색소 침착이 동반되기도 한다. 각막 난시가 발견되지만, [[원추 각막]]에서처럼 고도의 불규칙 난시가 발견되지는 않는다. 또한 후원추각막은 각막의 앞쪽을 침범하지 않기 때문에 시력 저하가 경도에서 중등도로 나타난다. 시력이 저하되는 원인은 기질 반흔이나 약시 때문이다. | 이환 부위에서 구타타(gutate)가 종종 관찰되며 병변의 주요 경계에서 색소 침착이 동반되기도 한다. 각막 난시가 발견되지만, [[원추 각막]]에서처럼 고도의 불규칙 난시가 발견되지는 않는다. 또한 후원추각막은 각막의 앞쪽을 침범하지 않기 때문에 시력 저하가 경도에서 중등도로 나타난다. 시력이 저하되는 원인은 기질 반흔이나 약시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