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감 안염: 두 판 사이의 차이

8 바이트 제거됨 ,  2021년 9월 28일 (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교감 안염 (sympathetic ophthalmia; SO)'''{{망막}} 은 안구의 천공성 외상이나 안구 수술 후에 양 눈에 생기는 육아종성 전체포도막염을 말한다. 안과 수술 후 발생하는 안구 합병증 중에서 가장 무서운 합병증 중 하나였으나 최근 포도막염 약물 치료가 발전하면서 예후가 많이 좋아졌다. 교감 안염의 발생은 서서히 일어날 수도 있으며 임상 결과는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는 만성 경과를 보인다.
'''교감 안염 (sympathetic ophthalmia; SO)'''{{망막}} 은 안구의 천공성 외상이나 안구 수술 후에 양 눈에 생기는 육아종성 전체 포도막염을 말한다. 안과 수술 후 발생하는 안구 합병증 중에서 가장 무서운 합병증 중 하나였으나 최근 포도막염 약물 치료가 발전하면서 예후가 많이 좋아졌다. 교감 안염의 발생은 서서히 일어날 수도 있으며 임상 결과는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는 만성 경과를 보인다.
== 역학 ==
== 역학 ==
매우 드문 질환으로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안구의 천공성 외상 후에는 0.19%, 안구 수술 후에는 0.007% 정도에서 생긴다고 보고되었다<ref>Liddy L et al. Sympathetic Ophthalmia in Canada. ''Can J Ophthalmol''. 1972 Apr;7(2):157-9. [https://pubmed.ncbi.nlm.nih.gov/4274314/ 연결]</ref>. 최근의 수술에서의 기술적 발전으로 예전 보다 발생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생각되나 여전히 안구내 수술이 주요한 원인이며 [[유리체 절제술]] 후 발생할 확률은 0.01%로 보고되고 있어 수술 후 발생 가능성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ref>Gass JD. Sympathetic ophthalmia following vitrectomy. ''AJO''. 1982 May;93(5):552-8. [https://pubmed.ncbi.nlm.nih.gov/7081353/ 연결]</ref>.
매우 드문 질환으로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안구의 천공성 외상 후에는 0.19%, 안구 수술 후에는 0.007% 정도에서 생긴다고 보고되었다<ref>Liddy L et al. Sympathetic Ophthalmia in Canada. ''Can J Ophthalmol''. 1972 Apr;7(2):157-9. [https://pubmed.ncbi.nlm.nih.gov/4274314/ 연결]</ref>. 최근의 수술에서의 기술적 발전으로 예전 보다 발생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생각되나 여전히 안구내 수술이 주요한 원인이며 [[유리체 절제술]] 후 발생할 확률은 0.01%로 보고되고 있어 수술 후 발생 가능성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ref>Gass JD. Sympathetic ophthalmia following vitrectomy. ''AJO''. 1982 May;93(5):552-8. [https://pubmed.ncbi.nlm.nih.gov/7081353/ 연결]</ref>.
38번째 줄: 38번째 줄:
=== anti-TNF ===
=== anti-TNF ===
최근에는 일반적인 염증 조절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에 항종양괴사인자 (anti-TNF) 생물학적 제제인 infliximab<ref>Gupta SR et al. Successful treatment of refractory SO in a child with infliximab. ''Arch Ophthalmol''. 2011 Feb;129(2):250-2. [https://pubmed.ncbi.nlm.nih.gov/21320978/ 연결]</ref>이나 adalimumab<ref>Kim JB et al. Adalimumab for pediatric sympathetic ophthalmia. ''JAMA Ophthalmol''. 2014 Aug;132(8):1022-4. [https://pubmed.ncbi.nlm.nih.gov/25010359/ 연결]</ref>을 사용하여 좋은 치료 효과를 보였다는 보고들이 있으나 장기적인 안전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기다려봐야 한다.
최근에는 일반적인 염증 조절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에 항종양괴사인자 (anti-TNF) 생물학적 제제인 infliximab<ref>Gupta SR et al. Successful treatment of refractory SO in a child with infliximab. ''Arch Ophthalmol''. 2011 Feb;129(2):250-2. [https://pubmed.ncbi.nlm.nih.gov/21320978/ 연결]</ref>이나 adalimumab<ref>Kim JB et al. Adalimumab for pediatric sympathetic ophthalmia. ''JAMA Ophthalmol''. 2014 Aug;132(8):1022-4. [https://pubmed.ncbi.nlm.nih.gov/25010359/ 연결]</ref>을 사용하여 좋은 치료 효과를 보였다는 보고들이 있으나 장기적인 안전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기다려봐야 한다.
 
=== 수술 ===
== 수술적 치료 ==
합병된 백내장은 충분한 염증 조절과 함께 수술을 시행한다. 녹내장이 합병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약물 치료, 홍채 절개술이나 수술을 시행한다.
합병된 백내장은 충분한 염증 조절과 함께 수술을 시행한다. 녹내장이 합병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약물 치료, 홍채 절개술이나 수술을 시행한다.
== 예후 ==
== 예후 ==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 이전에는 시력 예후는 대체적으로 좋지 못하였으나 스테로이드와 다양한 면역 억제제를 사용한 이후부터는 눈에 띄게 예후가 좋아졌다. 치료하지 않는다면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는 만성적인 경과를 보여 결과적으로 안구 위축에까지 이 를 수 있다. 이외에도 발생할 수 있는 장기적인 합병증으 로는 백내장, 녹내장, 저안압, 지속적인 황반 부종이나 망막 박리 등이 생길 수 있다.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이런 합병증들이 발생할 확률은 40%에 달하며 최종적으로 절반 정도에서 0.5 이하의 시력을 가지며 25%의 환자는 실명에 이르게 된다.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 이전에는 시력 예후는 대체적으로 좋지 못하였으나 스테로이드와 다양한 면역 억제제를 사용한 이후부터는 눈에 띄게 예후가 좋아졌다. 치료하지 않는다면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는 만성적인 경과를 보여 결과적으로 안구 위축에까지 이 를 수 있다. 이외에도 발생할 수 있는 장기적인 합병증으 로는 백내장, 녹내장, 저안압, 지속적인 황반 부종이나 망막 박리 등이 생길 수 있다.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이런 합병증들이 발생할 확률은 40%에 달하며 최종적으로 절반 정도에서 0.5 이하의 시력을 가지며 25%의 환자는 실명에 이르게 된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