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 드루젠: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62 바이트 제거됨 ,  2021년 10월 2일 (토)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역학)
1번째 줄: 1번째 줄:
'''작은 경성 드루젠 (small, hard drusen)'''{{망막}} 은 3~50㎛ 크기가 되어야 안저 검사에서 보이게 된다. 무적색광에서 보다 분명하게 보이고 FA에서는 25㎛ 만큼 작을 때도 관찰되는데 정맥기 중간에 밝게 보이고 후기에 곧 희미해진다. 작은 경성 드루젠은 직경 1,500㎛ 이내의 중심부에서 처음 관찰되기도 하지만 그 수가 많을 때는 중심오목의 이측 주변부에 가장 흔하게 관찰된다<ref>Wang Q et al. Pattern of AMD in the macular area. the BDES. ''IOVS''. 1996 Oct;37(11):2234-42. [https://pubmed.ncbi.nlm.nih.gov/8843910/ 연결]</ref>. 무리를 지어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 조직 검사에서는 사이사이에 작아서 보이지는 않는 많은 드루젠들이 자주 발견된다. 황반부를 피하여 혈관궁 밖에서 넓은 띠의 형태로 관찰되기도 하는데 이들은 안구 적도 부분을 향하여 선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과다 색소 침착된 선들과 관련되어 보인다.
'''작은 경성 드루젠 (small, hard drusen)'''{{망막}} 은 3~50㎛ 크기가 되어야 안저 검사에서 보이게 된다. 무적색광에서 보다 분명하게 보이고 FA에서는 25㎛ 만큼 작을 때도 관찰되는데 정맥기 중간에 밝게 보이고 후기에 곧 희미해진다. 작은 경성 드루젠은 직경 1,500㎛ 이내의 중심부에서 처음 관찰되기도 하지만 그 수가 많을 때는 중심오목의 이측 주변부에 가장 흔하게 관찰된다<ref>Wang Q et al. Pattern of AMD in the macular area. the BDES. ''IOVS''. 1996 Oct;37(11):2234-42. [https://pubmed.ncbi.nlm.nih.gov/8843910/ 연결]</ref>. 무리를 지어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 조직 검사에서는 사이사이에 작아서 보이지는 않는 많은 드루젠들이 자주 발견된다. 황반부를 피하여 혈관궁 밖에서 넓은 띠의 형태로 관찰되기도 하는데 이들은 안구 적도 부분을 향하여 선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과다 색소 침착된 선들과 관련되어 보인다.
== 역학 ==
== 역학 ==
하나 이상의 드루젠은 정상인에서도 흔하게 관찰되는데 서양인에서는 43세 이상의 95.5%에서, 49세 이상의 98.5%에서 관찰되었다<ref>Mitchell P et al. Prevalence of AMD in Australia.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Ophthalmology'' 1995;102:1450-60. [https://pubmed.ncbi.nlm.nih.gov/9097791/ 연결]</ref>. 63㎛ 이하의 작은 경성 드루젠은 모든 나이에서 가장 흔한 유형 이나 소수의 작은 경성 드루젠은 AMD의 위험 인자가 아니다.
하나 이상의 드루젠은 정상인에서도 흔하게 관찰되는데 서양인에서는 43세 이상의 95.5%에서, 49세 이상의 98.5%에서 관찰되었다<ref>Mitchell P et al. Prevalence of AMD in Australia.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Ophthalmology'' 1995;102:1450-60. [https://pubmed.ncbi.nlm.nih.gov/9097791/ 연결]</ref>.
 
== 조직학적 소견 ==
== 조직학적 소견 ==
브루크막의 내측 아교질층과 망막색소상피 바닥막 사이에 존재하는 공모양의 침착물이다. 이는 염색되는 성질을 갖는 유리질화된 물 을들이고 전자현미경에서 무정형으로 보인다.30 63 um 이 상으로 자라면 무정형의 내용물들은 덜 치밀해지고 덜 염색된다. 단일 경성드루젠이 125㎛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는 드물고, 여러 드루젠이 융합되면서 큰 드루젠을 형성할 수 있다. 위의 RPE가 변성되면 그 내용물들은 점점 분산되거나, 노인에서는 거친 과립 모양으로 된다. 마침내 드루젠이 사라지면 RPE 바닥막에 주름이 생기고 브루크막으로 붕괴되어 보통 작은 반점형의 저색소 침착을 남기게 된다. 초기에는 한 무리의 작은 경성 드루젠이 별개로 또는 마주 닿아 있을 수 있으나 안저 검사에서는 여전히 별개로 구분이 가능하다.
브루크막의 내측 아교질층과 망막색소상피 바닥막 사이에 존재하는 공모양의 침착물이다. 이는 염색되는 성질을 갖는 유리질화된 물 을들이고 전자현미경에서 무정형으로 보인다.30 63 um 이 상으로 자라면 무정형의 내용물들은 덜 치밀해지고 덜 염색된다. 단일 경성드루젠이 125㎛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는 드물고, 여러 드루젠이 융합되면서 큰 드루젠을 형성할 수 있다. 위의 RPE가 변성되면 그 내용물들은 점점 분산되거나, 노인에서는 거친 과립 모양으로 된다. 마침내 드루젠이 사라지면 RPE 바닥막에 주름이 생기고 브루크막으로 붕괴되어 보통 작은 반점형의 저색소 침착을 남기게 된다. 초기에는 한 무리의 작은 경성 드루젠이 별개로 또는 마주 닿아 있을 수 있으나 안저 검사에서는 여전히 별개로 구분이 가능하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