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성분)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드루젠 (drusen)'''{{망막}} 은 안저 검사 상 노랗게 보이는 세포외 물질이 침착된 것으로, 전형적으로 망막 색소상피의 바닥막과 브루크막의 내측 아교질층 사이에 위치하는 세포외 침착물이다. | '''드루젠 (drusen)'''{{망막}} 은 안저 검사 상 노랗게 보이는 세포외 물질이 침착된 것으로, 전형적으로 망막 색소상피의 바닥막과 브루크막의 내측 아교질층 사이에 위치하는 세포외 침착물이다. 기저 선형 침착물 주위에서 형성 될 수 있으며 이것과 이어져서 관찰될 수 있다.130 드루젠은 대식세포를 끌어들이고, 염증 반응을 유발하여 신생혈관을 유도할 수 있다 | ||
== 성분 == | == 성분 == | ||
보체 단백질, 콜레스테롤, 아포지질단백질, 탄수화물, 그 외에 아연 같은 미량 성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ref>Zhang X et al. Drusen and pachydrusen : the definition, pathogenesis, and clinical significance. ''Eye (Lond)''. 2021 Jan;35(1):121-133. [https://pubmed.ncbi.nlm.nih.gov/33208847/ 연결]</ref>. 드루젠의 성분을 이루는 단백질과 지질의 근원이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망막 색소상피|RPE]]와 맥락막 모두에서 기인할 것으로 생각된다 | 보체 단백질, 콜레스테롤, 아포지질단백질, 탄수화물, 그 외에 아연 같은 미량 성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ref>Zhang X et al. Drusen and pachydrusen : the definition, pathogenesis, and clinical significance. ''Eye (Lond)''. 2021 Jan;35(1):121-133. [https://pubmed.ncbi.nlm.nih.gov/33208847/ 연결]</ref>. 드루젠의 성분을 이루는 단백질과 지질의 근원이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망막 색소상피|RPE]]와 맥락막 모두에서 기인할 것으로 생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