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 [[안저 자가 형광]] === | === [[안저 자가 형광]] === | ||
드루젠은 자가 형광 물질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안저 자가 형광에서 증가, 감소 정상 자가 형광을 보일 수 있으며, 특히 안저 사진에서 보이는 드루젠이 반드시 안저 자가 형광의 변화를 수반하지는 않아 안저 사진의 변화와 안저 자가 형광 사진의 변화 사이에 연관성은 적다고 생각된다. 증가된 자가 형광의 부위가 반드시 과색소 침착이나 연성 혹은 경성 드루젠의 위치와 일치하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바닥막 드루젠을 제외하고 드루젠의 크기가 클수록 자가 형광의 이상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다. 결정 드루젠은 전형적으로 전형적으로 해당 부위에서 낮은 자가 형광을 보인다. | 드루젠은 자가 형광 물질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안저 자가 형광에서 증가, 감소 정상 자가 형광을 보일 수 있으며, 특히 안저 사진에서 보이는 드루젠이 반드시 안저 자가 형광의 변화를 수반하지는 않아 안저 사진의 변화와 안저 자가 형광 사진의 변화 사이에 연관성은 적다고 생각된다. 증가된 자가 형광의 부위가 반드시 과색소 침착이나 연성 혹은 경성 드루젠의 위치와 일치하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바닥막 드루젠을 제외하고 드루젠의 크기가 클수록 자가 형광의 이상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다. 결정 드루젠은 전형적으로 전형적으로 해당 부위에서 낮은 자가 형광을 보인다. | ||
== 자연 경과 == | |||
수명 주기를 갖고 있어서 시간이 지나면서 숫자가 증가하거나 혹은 감소할 수 있고 그 크기와 모양도 변한다.39-41 일부 드루젠들은 직경이 커지고 높이도 높아지고 뭉쳐지기도 하지만 일부는 저절로 퇴행한다. 드루젠이 퇴행하면 특징적으로 그 노란색이 감소하고,두께가 얇아지며 경계가 뚜렷해지면서 반짝거리는 석회화의 모양이 나타나고 RPE의 위축이나 색소 소실이 나타 난다. 거기에 색소나 색소를 품은 세포 (RPE 또는 대식세포) 가 시세포 위치까지 이동하여 국소 침착 혹은 망상의 과색소 침착으로 나타날 수 있다. | |||
모든 유형의 드루젠이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사라질 수 있지만 이것은 정상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일부에서는 호전 되었다고 여겨질 수 있게 변하기도 하지만 이것으로 과연 진행된 AMD로의 위험성이 감소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도 RPE가 손상되지 않고 남아 있는지는 확실치 않은데, 이는 일반적으로 드루젠이 사라진 곳에서 FA 상 증가된 투과 형광을 보이기 때문이다. 조직병리학적으로 퇴행하는 드루젠 위의 RPE와 광수용체가 사라지고 두꺼운 층의 후기 [[기저판 침착물]]이 남아 있다. 퇴행하는 드루젠은 그 위를 덮는 RPE의 상실로 인해 막부스러기의 유입이 감소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대식세포에 의해 드루젠이 제거되는 소견을 보여준다. 제거되지 않은 물질은 신경아교 세포 또는 아교섬유에 의해 침범되거나 비정상적인 조직석회화를 겪게 된다. 따라서 [[연성 드루젠]]의 퇴행은 막부스러기에 의해 만들어진 균열면을 폐쇄시키고, CNV가 발생하더라도 국한되게 만든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