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ICGA) |
잔글 (→감별 진단)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 감별 진단 == | == 감별 진단 == | ||
* [[맥락막 신생혈관]] : 이 질환의 특징인 결절이 ICGA에서 때로는 모호한 모양을 보이기 때문에 구분이 어려운 경우도 적지 않다. 이 질환의 빈도가 동양인에서 30~50%까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는 것도 이런 진단상의 어려움을 보여준다. 미세혈관류 양상의 과형광이 관찰될 때 이를 결절로 볼지 판단하기 어렵다. 또한, 전형적인 신생혈관도 ICGA에서 분지하는 선형의 이상 혈관과 함께 작은 과형광 반점이 동반되어 나타나기도 하므로, 과형광 반점이 관찰된다 | * [[맥락막 신생혈관]] : 이 질환의 특징인 결절이 ICGA에서 때로는 모호한 모양을 보이기 때문에 구분이 어려운 경우도 적지 않다. 이 질환의 빈도가 동양인에서 30~50%까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는 것도 이런 진단상의 어려움을 보여준다. 미세혈관류 양상의 과형광이 관찰될 때 이를 결절로 볼지 판단하기 어렵다. 또한, 전형적인 신생혈관도 ICGA에서 분지하는 선형의 이상 혈관과 함께 작은 과형광 반점이 동반되어 나타나기도 하므로, 과형광 반점이 관찰된다 | ||
== 자연 경과 == | |||
장기간 자연경과는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전형적인 신생혈관성 나이관련 황반변성과 비교하여, 섬유화 반흔이 적게 발생하고 진행이 더디기 때문에 전반적인 시력예후는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오랜 기간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호 있지만, 많은 경우 반복적인 출혈, 삼출 변화로 만성, 재발성 경과를 거치게 되고, 결국 중심부의 RPE 위축이 발생한다. 때로는 대량 출혈이 생기기도 하며, 이러한 경과를 거치면서 섬유화 반흔도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장기간의 시력예후는 알려진 것보다 나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결절이 포도송이처럼 뭉쳐있는 경우 더 나쁜 경과를 보인다<ref>Uyama M et al. PCV : natural history. ''AJO''. 2002 May;133(5):639-48. [https://pubmed.ncbi.nlm.nih.gov/11992861/ 연결]</ref><ref>Cheung CM et al. The natural history of PCV : a multi-center series of untreated Asian patient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5 Dec;253(12):2075-85. [https://pubmed.ncbi.nlm.nih.gov/25619667/ 연결]</ref>. | |||
처음에 출혈, 삼출은 전체 이상혈관에서 발생하지 않고, 대부분 활동성 결절에서만 일어나며, 장액 혹은 출혈 PED 와 감각 망막박리, 삼출물 침착, 망막밑 출혈 등을 초래한다. 활동성 결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 퇴행할 수 있으나, 선형의 혈관 (BVN) 은 주변부로 계속 자란다. 이러한 경과 중 새로운 말단부나 다른 가지에서 또 다른 활동성 결절이 발생하며,비활동성 결절이 활동성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런 과정은 드물게 멈출 수도 있고, 진행 속도가 느릴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평생에 걸쳐 일어난다. 선형의 혈관이 주변부로 자라 나감에 따라 병변의 크기가 커지고 활동성 결절도 황반 근처를 벗어나 위치한다. 그러나 그동안 황반을 포함하는 출혈, 삼출 변화도 호전과 재발을 반복하는 등, 만성적 경과를 취했기 때문에 중심부 망막에 RPE 위축 등의 변화를 남긴다. 또 한 처음에는 누출이 없던 BVN 부위도 자연경과 중, 혹은 [[광역학 치료]] 등의 치료 후에 활동성 신생혈관으로 변환되어 노출을 일으킨다. | |||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