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31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10월 4일 (월)
잔글
9번째 줄: 9번째 줄:
발생기전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이 있다. 이 질환을 처음 기술할 당시에는 FA와 임상적 관찰에 따라 이상혈관이 맥락막 내층에 위치하는 단순 맥락막 이상혈관으로 추측하였다. 이후 이뤄진 병리조직학적 연구들에서 서로 다른 결과를 보고하였다. 몇몇 연구는 브루크막 안의 신생 섬유혈관 증식 (newly proliferating fibrovascular tissue) 을 관찰하였다. 반면, 다른 연구에서는 맥락막 세동맥의 경화, 동정맥 교차 부위에서 세정맥 확장, 경화성 변화에 따르는 유리질화 (hyalinization) 를 관찰하였고,이를 토대로 이 질환은 혈관신생과는 별개이며, 맥락막 세정맥의 압박, 확장, 사행 그리고 혈류 정체에 따르는 변화로 추측하였다.
발생기전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이 있다. 이 질환을 처음 기술할 당시에는 FA와 임상적 관찰에 따라 이상혈관이 맥락막 내층에 위치하는 단순 맥락막 이상혈관으로 추측하였다. 이후 이뤄진 병리조직학적 연구들에서 서로 다른 결과를 보고하였다. 몇몇 연구는 브루크막 안의 신생 섬유혈관 증식 (newly proliferating fibrovascular tissue) 을 관찰하였다. 반면, 다른 연구에서는 맥락막 세동맥의 경화, 동정맥 교차 부위에서 세정맥 확장, 경화성 변화에 따르는 유리질화 (hyalinization) 를 관찰하였고,이를 토대로 이 질환은 혈관신생과는 별개이며, 맥락막 세정맥의 압박, 확장, 사행 그리고 혈류 정체에 따르는 변화로 추측하였다.


SD-OCT가 개발되면서 병변의 종적 위치를 잘 파악할 수 있게 되었는데, 거의 모든 증례에서 이상혈관은 융기된 RPE line (RPE와 RPE의 기저막) 과 브루크막의 외층을 나타내는 가는 반사선 사이에 위치한다.13-15 브루크막의 가장 내층이 RPE 기저막 (basal lamina) 이므로 이는 이상혈관이 브루크막 안에 위치하는 것을 뜻한다. 이런 관찰을 토대로 PCV는 브루크막 안의 혈관신생, 즉 제1형 혈관신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고, 이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aneurysmal type 1 neovascularization 으로 새롭게 명명하자는 주장도 있다.16 이어지는 논란은 이러한 혈관신생이 [[나이 관련 황반변성]]과 연관된 제1형 혈관신생 (잠복혈관신생) 의 한 유형 인지, 아니면 다른 발생 기전을 갖는 혈관신생인지 하는 것이다<ref>Balaratnasingam C et al. PCV : A Distinct Disease or Manifestation of Many? ''Retina''. 2016 Jan;36(1):1-8. [https://pubmed.ncbi.nlm.nih.gov/26414957/ 연결]</ref>.
SD-OCT가 개발되면서 병변의 종적 위치를 잘 파악할 수 있게 되었는데, 거의 모든 증례에서 이상혈관은 융기된 RPE line (RPE와 RPE의 기저막) 과 브루크막의 외층을 나타내는 가는 반사선 사이에 위치한다.13-15 브루크막의 가장 내층이 RPE 기저막 (basal lamina) 이므로 이는 이상혈관이 브루크막 안에 위치하는 것을 뜻한다. 이런 관찰을 토대로 PCV는 브루크막 안의 혈관신생, 즉 제1형 혈관신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고, 이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aneurysmal type 1 neovascularization 으로 새롭게 명명하자는 주장도 있다<ref>Dansingani KK et al. Understanding aneurysmal type 1 NV (PCV) : a lesson in the taxonomy of 'expanded spectra' - a review. ''Clin Exp Ophthalmol''. 2018 Mar;46(2):189-200. [https://pubmed.ncbi.nlm.nih.gov/29178419/ 연결]</ref>. 이어지는 논란은 이러한 혈관신생이 [[나이 관련 황반변성]]과 연관된 제1형 혈관신생 (잠복혈관신생) 의 한 유형 인지, 아니면 다른 발생 기전을 갖는 혈관신생인지 하는 것이다<ref>Balaratnasingam C et al. PCV : A Distinct Disease or Manifestation of Many? ''Retina''. 2016 Jan;36(1):1-8. [https://pubmed.ncbi.nlm.nih.gov/26414957/ 연결]</ref>.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