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보체계 억제) |
잔글 (→시각 주기 조절제)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시각 주기 조절제 (visual cycle inhibitor) 는 RPE에서 A2E (N-retinylidene-N-retinylethanolamine) 와 같은 독성 형광 물질의 축적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 시각 주기 조절제 (visual cycle inhibitor) 는 RPE에서 A2E (N-retinylidene-N-retinylethanolamine) 와 같은 독성 형광 물질의 축적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 ||
=== Fenretinide === | === Fenretinide === | ||
fenretinide (ReVision Therapeutics, | fenretinide (ReVision Therapeutics, Inc. San Diego, CA, USA)는 합성 비 타빈 A 유도체로, 용량 의존적으로 혈청 레티놀 결합 단백질 (retinol binding protein, RBP) 을 감소시켜 눈으로의 레티 놀 전달을 감소시킨다<ref>Radu RA et al. Reductions in serum vitamin A arrest accumulation of toxic retinal fluorophores : a potential therapy for treatment of lipofuscin-based retinal diseases. ''IOVS''. 2005 Dec;46(12):4393-401. [https://pubmed.ncbi.nlm.nih.gov/16303925/ 연결]</ref>. 경구 fenretinide의 임상시험에서 246명의 환자들은 위약 또는 100 mg, 300 mg의 fenretinide 를 24개월간 복용하였는데, 안저사진을 통한 GA 병변을 분석했을 때,300mg fenretinide 투여군에서 특히 혈청 RBP가 ≤ 2 mg/dL 일 때 병변의 성장이 느려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1.70±0.77 mm²/y vs. 2.03±1.24 mm²/y, ''p''=0.1848). 또한, 위약군은 82명 중 15명에서 CNV가 생긴 반면, fenretinide군은 163명 중 15명에서 발생하였다 (''p''=0.06) (NCT00429936)<ref>Mata NL et al. Investigation of oral fenretinide for treatment of GA in AMD. ''Retina''. 2013 Mar;33(3):498-507. [https://pubmed.ncbi.nlm.nih.gov/23023528/ 연결]</ref>. | ||
=== Emixustat === | === Emixustat === | ||
emixustat (Acucela, Seattle, WA, USA)는 RPE65 를 차단함으로써 all-trans-retinyl ester 의 11-cis-retinol 로의 변환을 억제하여 시각 주기의 독성 대사산물을 감소시키는 경구 투여 화합물이다. 46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75 mg 까지 용량 의존적인 ERG b파의 억제를 보였다. 약물을 투여받은 환자의 50%에서 시각과 관련된 이상 반응이 나타났으며, 색각 이상 (32%) 과 야맹증 (18%),시야 흐림 (11%) 등이 있었다 (NCT00942240). | emixustat (Acucela, Seattle, WA, USA)는 RPE65 를 차단함으로써 all-trans-retinyl ester 의 11-cis-retinol 로의 변환을 억제하여 시각 주기의 독성 대사산물을 감소시키는 경구 투여 화합물이다. 46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75 mg 까지 용량 의존적인 ERG b파의 억제를 보였다. 약물을 투여받은 환자의 50%에서 시각과 관련된 이상 반응이 나타났으며, 색각 이상 (32%) 과 야맹증 (18%),시야 흐림 (11%) 등이 있었다 (NCT00942240)<ref>Kubota R et al. Safety and effect on rod function of ACU-4429, a novel small-molecule visual cycle modulator. ''Retina''. 2012 Jan;32(1):183-8. [https://pubmed.ncbi.nlm.nih.gov/21519291/ 연결]</ref>. | ||
72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54명은 emixustat을 투여받고 18명은 위약을 3개월간 투여한 뒤 ERG 에서 막대세포의 민감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약물 투여 14일 후, emixustat군에서 용량 의존적 막대세포 억제가 있었으며, 2mg 그룹에서 가장 낮은 억제, 10mg 그룹에서 가장 많은 억제가 있었다. 원뿔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NCT01Q02950)<ref>Dugel PU et al. Phase 2,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90-day study of emixustat HCl in GA a/w dAMD. ''Retina''. 2015 Jun;35(6):1173-83. [https://pubmed.ncbi.nlm.nih.gov/25932553/ 연결]</ref>. | 72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54명은 emixustat을 투여받고 18명은 위약을 3개월간 투여한 뒤 ERG 에서 막대세포의 민감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약물 투여 14일 후, emixustat군에서 용량 의존적 막대세포 억제가 있었으며, 2mg 그룹에서 가장 낮은 억제, 10mg 그룹에서 가장 많은 억제가 있었다. 원뿔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NCT01Q02950)<ref>Dugel PU et al. Phase 2,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90-day study of emixustat HCl in GA a/w dAMD. ''Retina''. 2015 Jun;35(6):1173-83. [https://pubmed.ncbi.nlm.nih.gov/25932553/ 연결]</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