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혈관신생)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습성 나이관련 황반변성 (wAMD)'''{{망막}} | '''습성 나이관련 황반변성 (wAMD)'''{{망막}} | ||
== 병태생리== | == 병태생리== | ||
=== | === 혈관 신생 === | ||
기존 혈관으로부터 새로운 혈관을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하며, 혈관이 자궁 내에서 처음으로 생성되는 혈관 형성 (vasculogenesis) 과정과는 차이점이 있다. 혈관 신생은 다음의 순서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 주변 조직에 충분한 양와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혈관에는 산소와 저산소 유도 센서 (oxygen, hypoxia-induced sensor), 즉 수용체가 있어 혈류를 조절하기 위한 혈관의 리모델링이 가능하다. | |||
# 저산소증을 포함한 다양한 신호들이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기존 혈관으로부터 새로운 모세혈관의 성장을 촉진하는 인자들의 분비를 유도한다. | |||
# 혈관주위세포 (pericyte) 가 혈관으로부터 분리되고 내피세포 (endothelial cell) 는 혈관이 팽창함에 따라 활성화되고 간격이 벌어진다. | |||
# 혈관신생 발아 (sprout) 과정에서 정단세포 (tip cell) 에서 [[MMP]]가 분비되어 기저막을 분해하고 세포외 기질을 리모델링한다. | |||
# 이런 정단세포들은 극성을 가지고 사상위족 (filopodia) 을 만들어 혈관신생 자극으로 발아를 유도한다. | |||
# 연이어 자루세포 (stalk cell) 들이 정단세포를 따르며 증식하여 혈관신생 발아를 확장시킨다. 증식하는 자루세포들은 이웃하는 내피세포들과 결합하며 세포외막 성분들과 결합 하고 혈관 내강을 조절하는 신호를 분비한다. | |||
# 두 개의 정단세포가 서로 만나 연속적인 혈관 내강을 형성할 때 이웃하는 가지들의 융합이 일어난다. 세포외 기질은 새로운 기저막을 형성하기 위해 축적되고, 내피세포 증식이 중단되며, 혈관주위세포들이 집중되어 새로운 혈관을 안정화시킨다. | |||
# 이후 혈류량이 확보되면 산소와 영양소의 관류가 혈관신생 자극을 감소시키고 내피세포의 산소 감지 능력을 비활성화하여 혈관을 안정화시킨다. | |||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되거나 연구 중인 항혈관신생 치료법들은 이런 다양한 단계에서 혈관 신생을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
=== [[혈관내피 성장인자|VEGF]] === | === [[혈관내피 성장인자|VEGF]] === | ||
===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PDGF]] === | ===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PDG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