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CT: 두 판 사이의 차이

190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10월 11일 (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b>당뇨병 조절 및 합병증 연구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DCCT)</b> 는 다기관 무작위 임상연구 (multicenter, randomized clinical trial) 이다.
'''당뇨병 조절 및 합병증 연구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DCCT)'''{{망막}}<ref>Keen H. The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DCCT). ''Health Trends''. 1994;26(2):41-3. [https://pubmed.ncbi.nlm.nih.gov/10137725/ 연결]</ref> 는 1993년 발표된 다기관 무작위 임상연구 (multicenter, randomized clinical trial) 이다.
== 연구의 목적 ==
== 연구의 목적 ==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에서 혈당을 정상 범위로 조절하는 집중치료가 [[당뇨 망막병증]] 등의 합병증의 빈도와 정도를 감소 시키는지를 검사하고자 하였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에서 혈당을 정상 범위로 조절하는 집중치료가 [[당뇨 망막병증]] 등의 합병증의 빈도와 정도를 감소 시키는지를 검사하고자 하였다.
== 대상 및 방법 ==
== 대상 및 방법 ==
=== 연구 방법 ===
=== 연구 방법 ===
1983년부터 1989년까지 29개의 센터에서 13세에서 39세까지 모두 1,441명의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집중 치료가 당뇨 망막병증이 없는 환자에서 당뇨 망막병증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지를 검사하기 위한 일차예방군 (primary-prevention cohort) 과, 집중 치료가 초기 당뇨 망막병증의 진행에 영향을 주는지를 검사하기 위한 이차중단군 (secondary-intervention cohort) 등 두 가지의 코호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83년부터 1989년까지 29개의 센터에서 13세에서 39세까지 모두 1,441명의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 일차 예방군 (primary-prevention cohort) : 집중 치료가 당뇨 망막병증이 없는 환자에서 당뇨 망막병증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지를 검사하기 위함
* 이차 중단군 (secondary-intervention cohort) : 집중 치료가 초기 당뇨 망막병증의 진행에 영향을 주는지를 검사하기 위함
두 가지의 코호트 연구를 시행하였다.
=== 환자 선택 ===
=== 환자 선택 ===
* 일차 예방군 :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이 1~5년 되었고, 입체 안저 사진 검사 상 [[당뇨 망막병증]]이 없고, 24시간의 단백뇨가 40 mg 이하인 72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 일차 예방군 :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이 1~5년 되었고, 입체 안저 사진 검사 상 [[당뇨 망막병증]]이 없고, 24시간의 단백뇨가 40 mg 이하인 72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 이차 중단군 : 인슐린의존형 당뇨병이 1~15 년 되었고, 중등도 이하의 비증식 당뇨 망막병증이 있고, 24시간 뇨단백이 200 mg 이하인 7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 이차 중단군 : 인슐린의존형 당뇨병이 1~15 년 되었고, 중등도 이하의 비증식 당뇨 망막병증이 있고, 24시간 뇨단백이 200 mg 이하인 7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관찰기간은 3년에서 9년으로 평균 6.5년이었다.
관찰기간은 3~9년으로 평균 6.5년이었다.
=== 치료 ===
=== 치료 ===
* 보통 치료 (conventional therapy) : 인슐린을 하루에 1, 2회 주사하며, 매일 자가로 혈당, 뇨당을 측정하고 식이 요법과 운동요법에 대해 교육받는 치료를 말한다. 치료 목적은 고혈당, 당뇨에 의한 증상을 없애고, 케톤뇨를 없애며, 정상적인 성장 및 발육, 이성적인 체중을 유지하고, 심한 저혈당을 없애는 것이다. 3개월에 한 번 병원을 방문해 진찰 받고 HbA<sub>1c</sub> 검사를 한다.
* 보통 치료 (conventional therapy) : 인슐린을 하루에 1, 2회 주사하며, 매일 자가로 혈당, 뇨당을 측정하고 식이 요법과 운동요법에 대해 교육받는 치료를 말한다. 치료 목적은 고혈당, 당뇨에 의한 증상을 없애고, 케톤뇨를 없애며, 정상적인 성장 및 발육, 이성적인 체중을 유지하고, 심한 저혈당을 없애는 것이다. 3개월에 한 번 병원을 방문해 진찰 받고 HbA<sub>1c</sub> 검사를 한다.
17번째 줄: 19번째 줄:
집중 치료군에서 기존 치료군에 비해 딩뇨 망막병증의 발생이 76% 적었으며, 당뇨 망막병증의 진행은 54% 적었다. 또한 증식 당뇨 망막병증이나 심한 비증식 당뇨 망막병증의 발생이 47% 적었다.<BR />다른 전신적 합병증도 집중 치료군에서 적었다. 집중 치료군에서의 가장 큰 합병증은 심한 저혈당의 발생이 2~3배 증가하는 것이었다.  
집중 치료군에서 기존 치료군에 비해 딩뇨 망막병증의 발생이 76% 적었으며, 당뇨 망막병증의 진행은 54% 적었다. 또한 증식 당뇨 망막병증이나 심한 비증식 당뇨 망막병증의 발생이 47% 적었다.<BR />다른 전신적 합병증도 집중 치료군에서 적었다. 집중 치료군에서의 가장 큰 합병증은 심한 저혈당의 발생이 2~3배 증가하는 것이었다.  
== 결론 ==
== 결론 ==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에서 집중치료를 하여 혈당을 정상에 가깝게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당뇨 망막병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환자에서 집중치료를 하여 혈당을 정상에 가깝게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당뇨 망막병증]]의 발생을 지연시켰으며 진행을 감소시켰다. 그러나 그 효과는 최대이고 부작용은 최소인 목표 혈당치는 없었다. 따라서 당뇨에 대한 치료는 어느 특정한 환자 개인에 따라서 차별화해야 한다.
]]의 발생을 지연시켰으며 진행을 감소시켰다. 그러나 그 효과는 최대이고 부작용은 최소인 목표 혈당치는 없었다. 따라서 당뇨에 대한 치료는 어느 특정한 환자 개인에 따라서 차별화해야 한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