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작용 기전)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국소 레이저 (focal laser)'''{{망막}} 라는 용어는 넓은 의미로, [[범망막 광응고술]]과 대비되어, 황반 부종에 대한 광응고 치료 전체를 뜻하며, 좁은 의미로는, 격자 레이저 치료와 대비되어 국소 부종에서 미세혈관류를 선택적으로 광응고하는 치료를 말한다. 용어상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좁은 의미의 국소 레이저 직접 (direct) 레이저라는 용어로 쓰기도 한다. | '''국소 레이저 (focal laser)'''{{망막}} 라는 용어는 넓은 의미로, [[범망막 광응고술]]과 대비되어, 황반 부종에 대한 광응고 치료 전체를 뜻하며, 좁은 의미로는, 격자 레이저 치료와 대비되어 국소 부종에서 미세혈관류를 선택적으로 광응고하는 치료를 말한다. 용어상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좁은 의미의 국소 레이저 직접 (direct) 레이저라는 용어로 쓰기도 한다. | ||
== 작용 기전 == | == 작용 기전 == | ||
주로 미세혈관류인 누출점을 광응고로 폐쇄시켜 누출을 막는다. 미만 황반 부종에 대한 격자 레이저 치료는 주로 | 주로 미세혈관류인 누출점을 광응고로 폐쇄시켜 누출을 막는다<ref>Treatment techniques and clinical guidelines for photocoagulation of DME. ETDRS Report No 2. ETDRS Research Group. ''Ophthalmology''. 1987 Jul;94(7):761-74. [https://pubmed.ncbi.nlm.nih.gov/3658348/ 연결]</ref>. 미만 황반 부종에 대한 격자 레이저 치료는 주로 RPE층과 시세포층에 화상을 일으킨다. 격자 레이저 치료로 인한 회상은 외측 혈액 망막 장벽을 일시적으로 파괴시키지만 이후에는 주위의 RPE 세포들이 증식하여 파괴된 세포를 대치 하고 서로 밀착 결합하여, 몇 주 내에 튼튼한 장벽을 회복하게 된다<ref>Wallow IH. Repair of the RPE barrier following photocoagulation. ''Arch Ophthalmol''. 1984 Jan;102(1):126-35. [https://pubmed.ncbi.nlm.nih.gov/6703956/ 연결]</ref>. 한편으로는 많은 산소를 소모하는 시세포 일부를 파괴시켜 망막내층의 산소 분압을 증가시킴으로써 혈류가 감소되고 누출도 감소될 것으로 추측한다. | ||
== 단점 == | == 단점 == | ||
적용 범위가 제한적이며 레이저 치료 반흔이 커짐에 따라 황반하 섬유화 및 [[맥락막 신생혈관]]과 같은 부작용 위험이 있다. | 적용 범위가 제한적이며 레이저 치료 반흔이 커짐에 따라 황반하 섬유화 및 [[맥락막 신생혈관]]과 같은 부작용 위험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