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소 레이저: 두 판 사이의 차이

1,533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10월 12일 (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 작용 기전 ==
== 작용 기전 ==
주로 미세혈관류인 누출점을 광응고로 폐쇄시켜 누출을 막는다<ref>Treatment techniques and clinical guidelines for photocoagulation of DME. ETDRS Report No 2. ETDRS Research Group. ''Ophthalmology''. 1987 Jul;94(7):761-74. [https://pubmed.ncbi.nlm.nih.gov/3658348/ 연결]</ref>. 미만 황반 부종에 대한 격자 레이저 치료는 주로 RPE층과 시세포층에 화상을 일으킨다. 격자 레이저 치료로 인한 회상은 외측 혈액 망막 장벽을 일시적으로 파괴시키지만 이후에는 주위의 RPE 세포들이 증식하여 파괴된 세포를 대치 하고 서로 밀착 결합하여, 몇 주 내에 튼튼한 장벽을 회복하게 된다<ref>Wallow IH. Repair of the RPE barrier following photocoagulation. ''Arch Ophthalmol''. 1984 Jan;102(1):126-35. [https://pubmed.ncbi.nlm.nih.gov/6703956/ 연결]</ref>. 한편으로는 많은 산소를 소모하는 시세포 일부를 파괴시켜 망막내층의 산소 분압을 증가시킴으로써 혈류가 감소되고 누출도 감소될 것으로 추측한다.
주로 미세혈관류인 누출점을 광응고로 폐쇄시켜 누출을 막는다<ref>Treatment techniques and clinical guidelines for photocoagulation of DME. ETDRS Report No 2. ETDRS Research Group. ''Ophthalmology''. 1987 Jul;94(7):761-74. [https://pubmed.ncbi.nlm.nih.gov/3658348/ 연결]</ref>. 미만 황반 부종에 대한 격자 레이저 치료는 주로 RPE층과 시세포층에 화상을 일으킨다. 격자 레이저 치료로 인한 회상은 외측 혈액 망막 장벽을 일시적으로 파괴시키지만 이후에는 주위의 RPE 세포들이 증식하여 파괴된 세포를 대치 하고 서로 밀착 결합하여, 몇 주 내에 튼튼한 장벽을 회복하게 된다<ref>Wallow IH. Repair of the RPE barrier following photocoagulation. ''Arch Ophthalmol''. 1984 Jan;102(1):126-35. [https://pubmed.ncbi.nlm.nih.gov/6703956/ 연결]</ref>. 한편으로는 많은 산소를 소모하는 시세포 일부를 파괴시켜 망막내층의 산소 분압을 증가시킴으로써 혈류가 감소되고 누출도 감소될 것으로 추측한다.
 
== 치료 효과 (ETDRS에 따른) ==
1980년대 초반에 시행되었고 지금도 매우 모범적인 전향성 무작위 연구로 평가받는 ETDRS는 가벼운 비|증식군~초기 증식 사이의 환자로서 DME가 있고 시력 은 0.1 이상인 3,711 안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중등도 시력 손상의 빈도 및 두꺼워진 황반 중심을 국소 레이저 효과의 판정 지표로 삼아 평가하였다<ref>Photocoagulation forDME. ETDRS report no 1. ETDRS research group. ''Arch Ophthalmol''. 1985 Dec;103(12):1796-806. [https://pubmed.ncbi.nlm.nih.gov/2866759/ 연결]</ref>. 그 결과, 3년 이후에 중등도 시력 손상의 발생 빈도는 전체적으로 볼 때, 즉시 국소 치료한 군 12%, 뒤로 미룬 군 24%로 그 위험을 반 정도 줄일 수 있었다. CSME 에서는 치료효과가 더 커지는데, 그 중에서도 황반 중심을 침범한 경우는 그 비율이 각각 13%, 33%, 침범 안 한 경우는 12%, 22% 로, 황반 중심을 침범하였을 때 더욱 더 큰 효과를 보였다. 또한 확산 부종이나 낭포성 변화를 보인 경우에서도 이러한 치료 효과가 떨어지지 않았다. PRP는 일시적으로나마 황반 부종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PRP를 같이 해야 되는 경우라면, 국소 치료를 먼저 하고 어느 정도 기다려 황반 부종을 안정시킨 후 PRP를 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이런 증례야말로 anti-VEGF 주사 치료의 좋은 적응증으로 여겨진다.
== 단점 ==
== 단점 ==
적용 범위가 제한적이며 레이저 치료 반흔이 커짐에 따라 황반하 섬유화 및 [[맥락막 신생혈관]]과 같은 부작용 위험이 있다.
적용 범위가 제한적이며 레이저 치료 반흔이 커짐에 따라 황반하 섬유화 및 [[맥락막 신생혈관]]과 같은 부작용 위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