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검사 및 진단)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 병태 생리 == | == 병태 생리 == | ||
고혈압성 질환은 지속적인 동맥압의 병적인 상승과 전체 말초 저항의 증가로 뇌, 심장, 신장, 대동맥, 눈 등에서 혈관 질환을 유발하며 다양한 임상 양상을 나타낸다. 눈은 이러한 혈관 변화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유일한 기관이다. 전신 혈압이 상승되면 망막 순환의 자가 조절에 의해 상승된 혈압에 대해 일정한 혈류를 유지하기 위해 망막 혈관이 국소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수축된다. 지속적인 혈압의 상승은 혈장과 적혈구의 혈관외 유출을 동반하는 내측 혈액-망막 장벽의 파괴를 유발할 수 있어 망막 출혈, 면화반, 망막 내 지질 침착이 발생하며 심한 경우에는 별 모양의 황반 삼출물이 발생한다. 심한 고혈압의 경우에는 망막 모세혈관의 폐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고혈압성 질환은 지속적인 동맥압의 병적인 상승과 전체 말초 저항의 증가로 뇌, 심장, 신장, 대동맥, 눈 등에서 혈관 질환을 유발하며 다양한 임상 양상을 나타낸다. 눈은 이러한 혈관 변화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유일한 기관이다. 전신 혈압이 상승되면 망막 순환의 자가 조절에 의해 상승된 혈압에 대해 일정한 혈류를 유지하기 위해 망막 혈관이 국소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수축된다. 지속적인 혈압의 상승은 혈장과 적혈구의 혈관외 유출을 동반하는 내측 혈액-망막 장벽의 파괴를 유발할 수 있어 망막 출혈, 면화반, 망막 내 지질 침착이 발생하며 심한 경우에는 별 모양의 황반 삼출물이 발생한다. 심한 고혈압의 경우에는 망막 모세혈관의 폐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
== | == 소견 == | ||
대개 무증상이고 안저 소견을 통해 진단 된다. | |||
=== 소동맥-정맥 교차 부위의 변화 (arteriovenous crossing changes) === | |||
* Salus 징후 : 경화성 변화에 의해 소동맥과 교차 부위에서 소정맥의 주행 방향이 바뀐다. | |||
* Gunn 징후 : 소동맥-정맥 교차 부위에서 소정맥이 압박되어 가늘어진다. | |||
=== 소동맥의 변화 === | |||
소동맥의 혈관 직경이 감소되어 소동맥 정맥비 (A/V ratio) 가 감소항다 (1:3). 정상적인 소동맥 정맥비는 2:3이다. 소동맥 경화가 진행하면 소동맥벽이 두꺼워지고, 이로 인해 소동맥에 의한 광반사의 모양에 변화가 생긴다. 정상적으로 소동맥의 혈액 기둥 중앙부에는 가는 선이 보이며 이는 혈관벽에 의한 반사광 때문이다. 소동맥 벽이 두꺼워지고 혈관 내경이 좁아지면 소동맥에 의한 반사광이 분산되며 '구리선' 반사라 불리는 적갈색의 광반사가 관찰된다. 이 과정이 더 진행하여 혈액 기둥이 보이지 않게 되면 소동맥이 '은선' 모양으로 보인다. | |||
=== 혈관 이외의 망막 병변 === | |||
망막 출혈은 모세혈관의 폐쇄로 인해 발생하며 신경 섬유층에 있는 출혈은 불꽃 모양을 띠고, 좀 더 깊은 층의 출혈은 점상을 띤다. 망막 부종은 내측 혈액-망막 장벽의 손상으로 발생하며 혈관 누출이 흡수되면서 지질 성분이 남아 경성 삼출물을 형성한다. 면화반은 신경섬유층의 국소적 허혈로 인해 축삭 형질의 이동 장애로 발생하며 주로 시신경 유두 근처의 망막동맥 주위에 발생한다. | |||
== 분류 == | == 분류 == | ||
=== Keith-Wagener-Baker 분류법 === | === Keith-Wagener-Baker 분류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