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1963년 Kearns 등<ref>Kearns TP et al. Venous-stasis retinopathy of occlusive disease of the carotid artery. ''Proc Staff Meet Mayo Clin''. 1963 Jul 17;38:304-12. [https://pubmed.ncbi.nlm.nih.gov/14043286/ 연결]</ref>이 경동맥이 협착이 진행된 환자에서 관찰된 다양한 안증상을 처음으로 보고하였다. | 1963년 Kearns 등<ref>Kearns TP et al. Venous-stasis retinopathy of occlusive disease of the carotid artery. ''Proc Staff Meet Mayo Clin''. 1963 Jul 17;38:304-12. [https://pubmed.ncbi.nlm.nih.gov/14043286/ 연결]</ref>이 경동맥이 협착이 진행된 환자에서 관찰된 다양한 안증상을 처음으로 보고하였다. | ||
== 역학 == | == 역학 == | ||
환자의 나이는 평균 65세 정도로 50세 미만은 드물다. | 환자의 나이는 평균 65세 정도로 50세 미만은 드물다. 인종 간의 차이는 없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약 2배 많아서 남자의 높은 동맥 경화증 유병률을 반영한다. 양안 발병률의 차이는 없고 20%에서는 양안에 모두 발병한다. 정확한 유병률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서양의 보고에 의하면 1년에 백만 명당 7.5명이 새로 발병한다는 보고가 있다.1 하지만 실제로는 안허혈 증후군이 RVO 및 [[당뇨 망막병증|DMR]]에 의해 가려지거나 오진되는 가능성을 고려하면 조금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 ||
== 원인 == | == 원인 == | ||
대부분 환자에서 <span style='color:blue;'>심각한 경동맥 폐쇄</span>가 동반된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대동맥궁, 안동맥, 망막 중심 동맥, 모양체 동맥의 폐쇄성 혈관 질환이 원인인 경우도 있다. 또한 전신 혈관염과 같은 눈이나 안구로의 혈류 감소를 초래하는 다른 이유들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허혈 증후군 환자에서 동측 경동맥계는 90% 이상 좁아져 있다. 경동맥이 90% 이상 좁아지면 동측 망막 중심 동맥의 관류압은 약 50% 감소한다. 주로 총경동맥이나 내경동맥에서 폐쇄가 일어나며, 전체 환자 중 50% 에서는 동측 혈관의 완전 (100%) 폐쇄가 관찰되며, 약 10%에서는 양쪽 경동맥의 완전 폐쇄가 관찰된다. 하지만 완전 폐쇄인 경우라도 측부 순환이 잘 발달된 경우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br />가끔 동측 안동맥의 단독 폐쇄가 원인일 수도 있으므로 임상 양상은 안허혈 증후군이 의심되지만 경동맥 검사가 정상으로 나올 때는 안동맥 단독 폐쇄의 가능성을 생각해야 한다.<br />원인은 대부분 경동맥의 죽상경화증이며, 경동맥의 박리 동맥류, [[거대세포 동맥염]], 혈관 연축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 외에도 섬유근육 형성 이상, 베세트병, 외상, 염증성 질환 등과 같이 경동맥 폐쇄를 일으킬 수 있는 모든 질환이 안허혈 증후군의 원인이 된다. | 대부분 환자에서 <span style='color:blue;'>심각한 경동맥 폐쇄</span>가 동반된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대동맥궁, 안동맥, 망막 중심 동맥, 모양체 동맥의 폐쇄성 혈관 질환이 원인인 경우도 있다. 또한 전신 혈관염과 같은 눈이나 안구로의 혈류 감소를 초래하는 다른 이유들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허혈 증후군 환자에서 동측 경동맥계는 90% 이상 좁아져 있다. 경동맥이 90% 이상 좁아지면 동측 망막 중심 동맥의 관류압은 약 50% 감소한다. 주로 총경동맥이나 내경동맥에서 폐쇄가 일어나며, 전체 환자 중 50% 에서는 동측 혈관의 완전 (100%) 폐쇄가 관찰되며, 약 10%에서는 양쪽 경동맥의 완전 폐쇄가 관찰된다. 하지만 완전 폐쇄인 경우라도 측부 순환이 잘 발달된 경우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br />가끔 동측 안동맥의 단독 폐쇄가 원인일 수도 있으므로 임상 양상은 안허혈 증후군이 의심되지만 경동맥 검사가 정상으로 나올 때는 안동맥 단독 폐쇄의 가능성을 생각해야 한다.<br />원인은 대부분 경동맥의 죽상경화증이며, 경동맥의 박리 동맥류, [[거대세포 동맥염]], 혈관 연축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 외에도 섬유근육 형성 이상, 베세트병, 외상, 염증성 질환 등과 같이 경동맥 폐쇄를 일으킬 수 있는 모든 질환이 안허혈 증후군의 원인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