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내과적 치료) |
잔글 (→안과적 치료)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치료 == | == 치료 == | ||
=== 안과적 치료 === | === 안과적 치료 === | ||
치료 목표는 전안부 염증 조절, 망막 허혈 제거,안압 상승 및 [[신생혈관 녹내장]] 조절이며, 치료는 여전히 어렵고 논란의 여지가 많다. 전방각이 열려 있는 홍채 혈관신생이나 후안부 혈관신생이 있으면서 FA에서 모세혈관 비관류가 관찰되면 망막의 대사 요구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범망막 광응고|PRP]]을 시도하기도 하는데 보통 응고반의 크기는 500㎛ 로 하고 1,500~2,000 회 시행한다.16-18 그러나 PRP를 시행해도 DMR 이나 CRVO 처럼 NVI가 잘 퇴화되지는 않으며 단지 36% 에서만 NVI 퇴화 소견이 보인다. 만약 전방각이 섬유혈관조직으로 막혀 있고 후안부 혈관신생이 없다면 녹내장 여과 수술을 고려하지 않는 한 PRP를 시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19 | |||
안압을 낮추는 것은 안관류를 개선 하여 추가 손상을 막는 데 중요하며 [[신생혈관 녹내장|NVG]]에 의한 통증을 조절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유리체내 베바시주맙 주사가 신생혈관 녹내장 치료, 홍채 신생혈관 및 그와 관련된 합병증 치료 뿐 아니라 안허혈 증후군에 의한 황반부종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황반부종에 대하여 유리체 내 트리암시놀론 주사도 효과가 있다 는 보고가 있다. 2Q | |||
=== 내과적 치료 === | === 내과적 치료 === | ||
동맥 경화가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내과적 치료는 혈관 경화를 증가시키는 질환에 대한 위험인자(고혈압, 흡연, 당뇨, 고지혈증)를 억제하는 데 목표를 둔다. 고용량의 rosuvastatin(경구 40mg/d) 이 심장 및 전신 혈관의 경화를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다. 관련된 사망의 가장 높은 원인이 심근경색이므로 심장 내과의의 검사는 필수적이다<ref>Sivalingam A et al. The OIS. II. Mortality and systemic morbidity. ''Int Ophthalmol''. 1989 May;13(3):187-91. [https://pubmed.ncbi.nlm.nih.gov/2793312/ 연결]</ref>. | 동맥 경화가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내과적 치료는 혈관 경화를 증가시키는 질환에 대한 위험인자(고혈압, 흡연, 당뇨, 고지혈증)를 억제하는 데 목표를 둔다. 고용량의 rosuvastatin(경구 40mg/d) 이 심장 및 전신 혈관의 경화를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다. 관련된 사망의 가장 높은 원인이 심근경색이므로 심장 내과의의 검사는 필수적이다<ref>Sivalingam A et al. The OIS. II. Mortality and systemic morbidity. ''Int Ophthalmol''. 1989 May;13(3):187-91. [https://pubmed.ncbi.nlm.nih.gov/2793312/ 연결]</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