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경동맥 내막 절제술) |
잔글 (→경동맥 내막 절제술)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 수술 === | === 수술 === | ||
==== 경동맥 내막 절제술 ==== | ==== 경동맥 내막 절제술 ==== | ||
경동맥이 100% 막혀 있다면 큰 효과를 보지 못한다. 그 이유는 시행하는 도중 색전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이차적인 혈관 폐색 으로 인한 다른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표재성 측두동맥을 중간 뇌동맥으로 연결 해주는 두개외-두개내 | 경동맥이 100% 막혀 있다면 큰 효과를 보지 못한다. 그 이유는 시행하는 도중 색전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이차적인 혈관 폐색 으로 인한 다른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표재성 측두동맥을 중간 뇌동맥으로 연결 해주는 두개외-두개내 혈관 우회 수술 (extracranial-intracranial bypass surgery) 이 시행되기도 하나 그 결과는 미지수이다. 경동맥이 100% 막혀 있지 않은 경우에 한해서는, NVI가 발생하기 전에 경동맥 내막 절제술을 시행하는 경우 시력을 호전시키고 OIS를 안정화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이 결과 역시 OIS의 자연 경과를 대조군으로 하는 대규모 무작위 연구는 아나므로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ref>Brown GC. AION occurring in a/w carotid artery obstruction. ''J Clin Neuroophthalmol''. 1986 Mar;6(1):39-42. [https://pubmed.ncbi.nlm.nih.gov/2939112/ 연결]</ref>. | ||
== 예후 == | == 예후 == | ||
시력 예후는 불확실하다. 그 이유는 질병의 원인이 안구 자체보다, 전신적인 혈관 상태, 특히 경동맥의 상태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이다. 전반적으로 예후는 매우 불량하며, [[홍채 신생혈관]]이 발생한 경우 90% 이상에서 법적 실명에 이르게 된다. | 시력 예후는 불확실하다. 그 이유는 질병의 원인이 안구 자체보다, 전신적인 혈관 상태, 특히 경동맥의 상태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이다. 전반적으로 예후는 매우 불량하며, [[홍채 신생혈관]]이 발생한 경우 90% 이상에서 법적 실명에 이르게 된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