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가성 연성 드루젠)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 가성 연성 드루젠 == | == 가성 연성 드루젠 == | ||
드루젠이 점점 함께 뭉쳐지게 되면 하나의 큰 침착물로 보이게 되는데 이를 가성 연성 드루젠 (pseudosoft, cluster-derived drusen) 이라고 부른다<ref>Sarks JP et al. Evolution of soft drusen in AMD. ''Eye (Lond)''. 1994;8 (Pt 3):269-83. [https://pubmed.ncbi.nlm.nih.gov/7525362/ 연결]</ref>. 이는 임상적으로 연성으로 보이나 무적색광 또는 FA에서 여전히 작은 드 루젠들로 관찰될 수 있다. 융합된 드루젠은 125~250㎛ 까지 커질 수 있으며 융기되서 RPE와 망막을 들어올려 그 주변에 붉은 테두리 (reddish halo) 를 만들어낸다. FA에서는 밝은 형광을 띠지만 균일하지 않게 염색된다. 천천히 수년에 걸쳐 퇴행되면서 RPE의 국소 반점형 위축이나 지도상 위축을 남기는 경우들이 있다. 이러한 융합된 작은 경성 드루젠의 무리들은 AMD의 특징인 기저 선형 침착물이나 막형 부스러기의 축적이 나타나기 전의 비교적 젊은 나이에 독립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예후가 좋다. | 드루젠이 점점 함께 뭉쳐지게 되면 하나의 큰 침착물로 보이게 되는데 이를 가성 연성 드루젠 (pseudosoft, cluster-derived drusen) 이라고 부른다<ref>Sarks JP et al. Evolution of soft drusen in AMD. ''Eye (Lond)''. 1994;8 (Pt 3):269-83. [https://pubmed.ncbi.nlm.nih.gov/7525362/ 연결]</ref>. 이는 임상적으로 연성으로 보이나 무적색광 또는 FA에서 여전히 작은 드 루젠들로 관찰될 수 있다. 융합된 드루젠은 125~250㎛ 까지 커질 수 있으며 융기되서 RPE와 망막을 들어올려 그 주변에 붉은 테두리 (reddish halo) 를 만들어낸다. FA에서는 밝은 형광을 띠지만 균일하지 않게 염색된다. 천천히 수년에 걸쳐 퇴행되면서 RPE의 국소 반점형 위축이나 지도상 위축을 남기는 경우들이 있다. 이러한 융합된 작은 경성 드루젠의 무리들은 AMD의 특징인 기저 선형 침착물이나 막형 부스러기의 축적이 나타나기 전의 비교적 젊은 나이에 독립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예후가 좋다. | ||
== 검사 소견 == | |||
* OCT : [[망막 색소상피|RPE]]가 살짝 들어 올려진 모양으로 보이는데, 연성드루젠의 경우 63~1,000 ㎛ 넓이로 RPE 아래에 침착물들로 보인다. | |||
* FA : 작은 경성 드루젠은 정맥 충만 중기에 밝게 보이다가 맥락막 형광이 사라지는 시기에 다시 희미해진다. | |||
* ICGA : FA와 달리 잘 보이지 않는다. | |||
== AMD와의 연관성 == | == AMD와의 연관성 == | ||
63㎛ 이하의 작은 경성 드루젠은 모든 나이에서 가장 흔한 유형 이나 소수의 작은 경성 드루젠은 AMD의 위험 인자가 아니다. 그렇지만 작은 경성드루젠의 한계 점을 넘게 되면 더 큰 드루젠이 발생되기 쉬운 것으로 보 고되고 있다. 5년간의 연구에서는 작은 경성드루젠이 있 는 눈에서는 위치에 관계없이 진행된 나이관련황반변성 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그 수가 많거나 한 무리가 황반 중 심에 위치한 경우에는 보다 오랜 기간 뒤에 합병증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젊은 환자들은 비록 병의 진행이 늦더라도 나중에는 지도모양 위축이나 드물게는 맥락막 신생혈관이 생길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작은 경성 드루젠과 유사한 모양, 분포, 경과를 보이는 드루젠이 제2형 막증식 사구체신염 환자에서 관찰될 수 있는데, 이 드루젠은 그 수가 나이와 관계없고 병의 이환 기간과 관련된다. | 63㎛ 이하의 작은 경성 드루젠은 모든 나이에서 가장 흔한 유형 이나 소수의 작은 경성 드루젠은 AMD의 위험 인자가 아니다. 그렇지만 작은 경성드루젠의 한계 점을 넘게 되면 더 큰 드루젠이 발생되기 쉬운 것으로 보 고되고 있다. 5년간의 연구에서는 작은 경성드루젠이 있 는 눈에서는 위치에 관계없이 진행된 나이관련황반변성 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그 수가 많거나 한 무리가 황반 중 심에 위치한 경우에는 보다 오랜 기간 뒤에 합병증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젊은 환자들은 비록 병의 진행이 늦더라도 나중에는 지도모양 위축이나 드물게는 맥락막 신생혈관이 생길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작은 경성 드루젠과 유사한 모양, 분포, 경과를 보이는 드루젠이 제2형 막증식 사구체신염 환자에서 관찰될 수 있는데, 이 드루젠은 그 수가 나이와 관계없고 병의 이환 기간과 관련된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