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특발 언가지 혈관염: 두 판 사이의 차이

344 바이트 제거됨 ,  2021년 10월 29일 (금)
잔글
4번째 줄: 4번째 줄:
== 원인 ==
== 원인 ==
아직 밝혀진 바 없다. 헤르페스 바이러스, Epstein-Barr 바이러스, Coxsakie 바이러스 A10, 아데노바이러스, 홍역, 풍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역가가 증가한 일부 증례들도 있어서, 이 질환에 바이러스 감염이 관계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아직 밝혀진 바 없다. 헤르페스 바이러스, Epstein-Barr 바이러스, Coxsakie 바이러스 A10, 아데노바이러스, 홍역, 풍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역가가 증가한 일부 증례들도 있어서, 이 질환에 바이러스 감염이 관계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 병태 생리 ==
전구 증상으로 여러가지 양상의 감기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앞서 기술한 여러가지 감염원에 대한 과민 반응으로 인해 면역 복합체가 혈관에 침착되어 생기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이는 치료제로서 전신 스테로이드 투여의 근거이다.
== 증상 ==
== 증상 ==
발병 전에 여러가지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주증상으로는 시력 저하 외에도 비문증, 광시증 등이 있을 수 있다. 눈에서는 전방과 유리체에서 다양한 정도의 염증 소견이 있을 수 있으나 평면부에 침착물은 관찰되지 않는다.
발병 전에 여러가지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주증상으로는 시력 저하 외에도 비문증, 광시증 등이 있을 수 있다. 눈에서는 전방과 유리체에서 다양한 정도의 염증 소견이 있을 수 있으나 평면부에 침착물은 관찰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