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아토피 각결막염 (atopic keratoconjunctivitis; AKC) 은 결막과 눈꺼풀의 양안성 만성 염증 질환이며 아토피 피부염과도 연관이 있다. == 역학 == 인...)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아토피 각결막염 (atopic keratoconjunctivitis; AKC) 은 결막과 눈꺼풀의 양안성 만성 염증 질환이며 아토피 피부염과도 연관이 있다. | '''아토피 각결막염 (atopic keratoconjunctivitis; AKC)'''{{각막}} 은 결막과 눈꺼풀의 양안성 만성 염증 질환이며 아토피 피부염과도 연관이 있다. | ||
== 역학 == | == 역학 == | ||
인구의 3%가 아토피 피부염을 갖고 있는데, 아토피 피부염 중 15~67.5%가 아토피 각결막염을 유발한다. 아토피 피부염은 어릴 때 진단되지만 이 알레르기 눈질환의 발병은 보통 <span style='color:blue;'>10~40대</span>에 나타나는데, 최근에는 7~76세에 증상이 시작된다고 보고되기도 했다.<br />남녀 성비는 2.4:1이며, 인종이나 지역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다. 헤르페스 각막염이 14~17.8%, 원추 각막이 6.7~16.2%에서 동반된다. | 인구의 3%가 아토피 피부염을 갖고 있는데, 아토피 피부염 중 15~67.5%가 아토피 각결막염을 유발한다. 아토피 피부염은 어릴 때 진단되지만 이 알레르기 눈질환의 발병은 보통 <span style='color:blue;'>10~40대</span>에 나타나는데, 최근에는 7~76세에 증상이 시작된다고 보고되기도 했다.<br />남녀 성비는 2.4:1이며, 인종이나 지역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다. 헤르페스 각막염이 14~17.8%, 원추 각막이 6.7~16.2%에서 동반된다.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검사 및 진단 == | == 검사 및 진단 == | ||
병력 청취가 중요하다. 전형적으로 피부염을 동반하면서 심하게 지속되는 안구 주위의 가려움을 호소한다. 보통 한 쪽이나 양쪽 부모의 아토피 질환 가족력이 있고, 천식이나 알레르기 비염 같은 다른 아토피 질환을 보이는 경우가 흔하다. 계절성이거나 노출과 관계된 악화 병력도 존재한다.<br />병력 청취와 검사는 다른 아토피 눈질환과 아토피 각결막염을 감별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않으면 [[거대 유두 결막염]]과 아토피 각결막염을 감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아토피 각결막염은 보통 나이가 많은 환자에서 나타나며, 눈꺼풀 병변의 침범을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아토피 각결막염 환자의 혈청은 종종 IgE 수치가 상승되어 있으며, 윗눈꺼풀판 결막 찰과 후 김자 염색 시 호산구가 나타날 수 있다. | 병력 청취가 중요하다. 전형적으로 피부염을 동반하면서 심하게 지속되는 안구 주위의 가려움을 호소한다. 보통 한 쪽이나 양쪽 부모의 아토피 질환 가족력이 있고, 천식이나 알레르기 비염 같은 다른 아토피 질환을 보이는 경우가 흔하다. 계절성이거나 노출과 관계된 악화 병력도 존재한다.<br />병력 청취와 검사는 다른 아토피 눈질환과 아토피 각결막염을 감별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않으면 [[거대 유두 결막염]]과 아토피 각결막염을 감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아토피 각결막염은 보통 나이가 많은 환자에서 나타나며, 눈꺼풀 병변의 침범을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아토피 각결막염 환자의 혈청은 종종 IgE 수치가 상승되어 있으며, 윗눈꺼풀판 결막 찰과 후 김자 염색 시 호산구가 나타날 수 있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