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리소프 레스토: 두 판 사이의 차이

72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12월 24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아크리소프 레스토 (Acrysof Restor®; SN6AD1)'''{{백내장}} (Alcon Lab., Fort Worth, TX, USA) 는  대칭형 양면 볼록렌즈로, single piece, 전면 비구면 인공수정체로 6.0 mm 광학부 크기에 전체 길이가 13.0 mm의 C-loop형 지지부 디자인으로, 안정성과 그 효과에 대해서 가장 많이 연구된 [[회절 다초점 인공수정체]]이다<ref>Blaylock JF et al. Visual and refractive status at different focal distances after implantation of the ReSTOR mfIOL. ''JCRS''. 2006 Sep;32(9):1464-73. [https://pubmed.ncbi.nlm.nih.gov/16931257/ 연결]</ref><ref>Kohnen T et al. European multicenter study of the AcrySof ReSTOR apodized diffractive IOL. ''Ophthalmology''. 2006 Apr;113(4):584.e1. [https://pubmed.ncbi.nlm.nih.gov/16483658/ 연결]</ref><ref>Nochez Y et al. Effect of interaction of macroaberrations and scattered light on objective quality of vision in pseudophakic eyes with aspheric monofocal IOLs. ''JCRS''. 2012 Apr;38(4):633-40. [https://pubmed.ncbi.nlm.nih.gov/22317956/ 연결]</ref>.
'''아크리소프 레스토 (Acrysof Restor®; SN6AD1)'''{{백내장}} (Alcon Lab., Fort Worth, TX, USA) 는  대칭형 양면 볼록렌즈로, single piece, 전면 비구면 인공수정체로 6.0 mm 광학부 크기에 전체 길이가 13.0 mm의 C-loop형 지지부 디자인으로, 안정성과 그 효과에 대해서 가장 많이 연구된 [[회절 다초점 인공수정체]]이다<ref>Blaylock JF et al. Visual and refractive status at different focal distances after implantation of the ReSTOR mfIOL. ''JCRS''. 2006 Sep;32(9):1464-73. [https://pubmed.ncbi.nlm.nih.gov/16931257/ 연결]</ref><ref>Kohnen T et al. European multicenter study of the AcrySof ReSTOR apodized diffractive IOL. ''Ophthalmology''. 2006 Apr;113(4):584.e1. [https://pubmed.ncbi.nlm.nih.gov/16483658/ 연결]</ref><ref>Nochez Y et al. Effect of interaction of macroaberrations and scattered light on objective quality of vision in pseudophakic eyes with aspheric monofocal IOLs. ''JCRS''. 2012 Apr;38(4):633-40. [https://pubmed.ncbi.nlm.nih.gov/22317956/ 연결]</ref>.
== 구조 ==
== 구조 ==
전면은 중심에 3.6 mm의 광학부분을 가지고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9개의 동심원 모양의 아포다이즈드 회절 (apodized diffractive) 영역에 +3.0 D 의 덧댐 굴절력을 가지고 있고 이 부위를 통하여 빛이 회절되면서 근거리와 원거리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전면은 중심에 3.6 mm의 광학부분을 가지고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9개의 동심원 모양의 아포다이즈드 회절 (apodized diffractive) 영역에 덧댐 굴절력을 가지고 있고 이 부위를 통하여 빛이 회절되면서 근거리와 원거리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 종류 ==
* SN6AD1 : 덧댐 굴절력 +3.0 D
* SN6AD3 : 덧댐 굴절력 +4.0 D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