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논문 |Relationship between Three-Dimens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Eyeball Shape and Optic Nerve Head Morphology<ref>Lee KM et al. Relationship between 3D MRI eyeball shape a...)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설계 == | == 설계 == | ||
전향적, 단면 연구 | 전향적, 단면 연구 | ||
== 대상자 == | |||
녹내장 또는 녹내장 의심으로 진단받은 환자 56명 (112안) | |||
== 방법 == | |||
== 결과 == | |||
== 결론 == | == 결론 == | ||
CRVT 위치와 EOB는 삼차원 안구 모양과 관계가 있었다. 영아 시신경 유두의 형태가 매우 일정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성장 중 안구 확장의 다양한 양상이 성인에서 LC와 BMO 사이의 다양한 방향성을 초래할 수 있다. | CRVT 위치와 EOB는 삼차원 안구 모양과 관계가 있었다. 영아 시신경 유두의 형태가 매우 일정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성장 중 안구 확장의 다양한 양상이 성인에서 LC와 BMO 사이의 다양한 방향성을 초래할 수 있다. | ||
{{참고}} | {{참고}} |